전체 높이 11.5m, 지주 높이 3m, 다복 다재 슬롯 지름 40㎝. 1973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양 지주가 남북향으로 서고 그 가운데에 철통을 연결하여 올린 철다복 다재 슬롯이 고정되어 있다.
화강석으로 조성된 지주에는 아무런 장식무늬가 없으며 위쪽으로 갈수록 너비가 약간씩 좁아지며 맨 윗면의 외곽은 둥글게 모를 깎았다. 또한 지주의 내측 상단에는 다복 다재 슬롯을 고정시키기 위한 홈을 내고 철띠를 둘러 다복 다재 슬롯을 고정시켰다.
이들 다복 다재 슬롯과 다복 다재 슬롯지주를 받치는 대석은 자세히 조사되지 않아 그 면모를 파악할 수는 없으나 단순한 방형대석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이 다복 다재 슬롯은 매우 소박한 지주를 갖고 있으며 다복 다재 슬롯은 현재 길이 60㎝ 가량의 철통 15개만이 연접된 채 남아 있어 약 절반 가량은 결실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이 철다복 다재 슬롯은 조성내력과 관련된 방증자료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어 그 조성연대를 추정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며, 다만 고려시대 이후의 철다복 다재 슬롯으로 비정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