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 슬롯 칠교해 ()

목차
관련 정보
민속·인류
문헌
칠교놀이의 방법을 그림으로 풀이한 주석서. 여가주석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메이플 슬롯습니다.
목차
정의
칠교놀이의 방법을 그림으로 풀이한 주석서. 여가주석서.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편자 및 연대는 미상이다.

칠교는 종이를 접어서 여러 가지 유형을 만드는 것으로, 지난날 왕궁에서 궁녀들이 심심풀이로 행한 놀이라 한다.

중간에 그림을 그리고 우측에는 한문으로, 좌측에는 국문으로 그 놀이의 이름을 병기하고 있고 별다른 설명이나 해설은 없다.

한 면에 6개의 도면과 명칭이 있는데, 포함육합(包含六合)·용문산(龍門山)·삼신산(三神山)·오행산(五行山)·오로봉(五老峰)·원봉(遠峰) 등은 산의 메이플 슬롯, 적벽강(赤壁江) 등은 강의 메이플 슬롯, 장전(長田)·결각전(缺角田) 등은 밭의 메이플 슬롯, 층루(層樓)·경루(更樓) 등은 누각의 메이플 슬롯,

반산정(半山亭)·양정(凉亭)·삼선정(三仙亭) 등은 정자의 메이플 슬롯, 방옥(方屋) 등은 집의 메이플 슬롯, 양대(洋臺)·서양대(西洋臺)·조대(釣臺) 등은 대의 메이플 슬롯, 비각(碑閣)의 메이플 슬롯, 홍정란(虹錠欄) 등은 다리 난간의 메이플 슬롯, 외교(隈橋)·석란교(石欄橋)·계교(溪橋)·정교(亭橋) 등은 다리의 메이플 슬롯, 철탑(鐵塔)·석탑(石塔)·보동탑(普同塔) 등은 탑의 메이플 슬롯, 지주(砥柱)·장군주(將軍柱) 등은 기둥의 메이플 슬롯,

하마비(下馬碑) 등은 비석의 메이플 슬롯, 망부석(望夫石)·취승석(醉僧石) 등은 사람의 형체를 한 돌의 메이플 슬롯, 양인(洋人)·취옹(醉翁)·수조옹(垂釣翁) 등은 늙은이의 메이플 슬롯, 배월(拜月)·간운(看雲)·관기(觀기)·청금(聽琴) 등은 취미와 오락을 즐기는 인간의 메이플 슬롯, 난비(鸞飛)·청조(靑鳥)·백로(白鷺) 등은 새의 메이플 슬롯, 치마(馳馬)·주마(走馬) 등은 말의 메이플 슬롯, 개·거북·물고기·두꺼비 등은 동물의 메이플 슬롯,

복숭아·감·배 등은 과일의 메이플 슬롯, 나무·풀 등은 식물의 메이플 슬롯 등 물형으로 생긴 가지가지 형태를 만들어가며 즐길 수 있게 300여 종에 달하는 놀이방법을 적어놓았다.

종이만 가지고 여러 가지 메이플 슬롯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밝힌 참뜻은 단순히 심심풀이를 돕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사소한 문제도 연구를 거듭하면 수많은 문제를 파생시킬 수 있다는 교훈을 주기 위한 데 있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메이플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메이플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