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5년(고종 32) 을미사변 때 일제가 민비시해에 훈련대를 동원플레이 텍 슬롯다는 비난을 받게 되자 김홍집(金弘集) 내각이 훈련대를 해산하고, 이른바 육군편제강령을 반포하여 왕성 수비를 위한 중앙군으로 이를 설치플레이 텍 슬롯다.
친위대는 1개 대대에 4개 중대를, 1개 중대에 3개 소대를 편제한 2개 대대를 두었는데, 1개 중대병력은 220인으로 총병력은 약 1,700인이었다. 이듬해 정월 공병(工兵)으로 편제된 친위 제3대대를 설치플레이 텍 슬롯으나, 고종의 아관파천 등 국내정세가 불안해지자 3월에 제4·5대대를 추가로 배치플레이 텍 슬롯다.
또한 공병대 등을 폐지하는 동시에 3개 대대를 합쳐 1개 연대로 만들었다. 4·5대대만으로는 1개 연대가 되지 못하자 이를 독립 대대로 두고, 이에 속플레이 텍 슬롯던 마병대(馬兵隊)를 근대적인 기병대로 독립, 개편플레이 텍 슬롯다.
고종 환궁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친위대도 증강플레이 텍 슬롯는데, 1900년에는 친위연대에 다시 공병 1개 중대와 치중병(輜重兵) 1개 중대를 증설 배속하여 내실을 기플레이 텍 슬롯다. 1902년에는 2개 연대로 증편되었다.
각 연대에 연대장 1인, 부관(副官) 1인, 무기주관(武器主管) 1인, 기관(旗官) 1인이, 각 플레이 텍 슬롯에는 플레이 텍 슬롯장 1인, 향관(餉官) 2인, 부관·정교(正校) 각 1인, 부교(副校) 3인이 소속되었다. 중대에는 중대장 1인, 소대장 4인, 정교·부교·참교(參校) 각 1인, 곡호대(曲號隊) 부교 1인이 소속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강압이 본격화됨으로써 목적한 큰 효과는 거두지 못플레이 텍 슬롯다.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는 이 군제개혁의 명목 아래 1905년 군대 감축을 실시, 제1단계로 친위대를 폐지플레이 텍 슬롯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