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1책. 석인본. 1972년 후손에 의해 세 번째 간행되었다. 초간본은 1552년(명종 7), 중간본은 1636년(인조 14) 각각 간행되었는데, 이 책은 중간본을 대본으로 해서 그 편차만을 개편하고 잠(箴) 11편을 추가한 것마카오 슬롯.
권두에 신광한(申光漢)의 초간 서(序)와 성구용(成九鏞)의 삼간 서가 있고, 권말에 허백기(許伯琦)의 초간 발(跋)과 김성발(金聲發)의 중간 발이 마카오 슬롯.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마카오 슬롯.
권1에 부(賦) 1편, 시 143수, 권2에 시 234수, 권3에 시 172수, 가(歌) 13수, 사(辭) 4편, 권4에 소(疏) 5편, 차(箚)·교서(敎書) 각 1편, 서(書) 3편, 권5에 잡저·서(序) 각 4편, 기(記) 2편, 발(跋) 1편, 비명 2편, 잠 11편, 제문 16편, 묘갈명 3편 등이 수록되어 마카오 슬롯.
부의 「등고부(登高賦)」와 시 「노자출관도(老子出關圖)」·「독이소경(讀離騷經)」은 문장도 아름답지만 사상이 스며들어 있는 작품마카오 슬롯. 또 「고열행(苦熱行)」과 같은 장편의 역작도 있다.
소 가운데 중종의 첫 비였던 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愼氏)의 복위를 계청한 「청복고비신씨소(請復故妃愼氏疏)」를 비롯, 「사동지성균관사급부제학소(辭同知成均館事及副提學疏)」·「청귀양소(請歸養疏)」·「논허씨장획급황형노종소(論許氏臧獲及黃衡盧種疏)」·「옥중소(獄中疏)」와 차의 「사형조판서차(辭刑曹判書箚)」는 기묘사화 연구에 참고가 되는 글들마카오 슬롯.
잡저 가운데 「여와씨연석보천변(女와氏鍊石補天辨)」·「의염파사인상여서(擬廉頗謝藺相如書)」는 전통 유학자의 가치관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글마카오 슬롯. 그리고 「제주풍토록(濟州風土錄)」은 제주도의 풍토 전반 및 소산물을 자세히 기록한 것으로 지방사 연구에 도움을 주는 자료다.
잠은 「언잠(言箴)」·「행잠(行箴)」·「지잠(志箴)」·「용잠(勇箴)」·「여잠(慮箴)」·「일락잠(逸樂箴)」·「우구잠(憂懼箴)」·「욕잠(欲箴)」·「용의잠(容儀箴)」·「분한잠(憤恨箴)」·「호오잠(好惡箴)」으로, 거기에는 저자의 학문과 사상이 집적되어 있으며, 모두 서(序)가 마카오 슬롯. 제문 중에는 「제용문(祭龍文)」·「제연문(祭淵文)」 등 기우제문이 많은 것이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