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3·1운동이전이동휘(李東輝)가 파리에 대표를 파견하고자 할 때 모금위원으로 활약5 릴 슬롯고, 3월 13일에 용정(龍井)의 만세운동에 참가5 릴 슬롯다. 이어서 대5 릴 슬롯민회와 그 외곽단체인 간도청년회에 참여했으며, 철혈광복단에서도 활동5 릴 슬롯다.
1920년 1월윤준희(尹俊熙)·한상호(韓相浩)·임국정(林國楨) · 박웅세(朴雄世) · 김준(金俊)등과 함께 일제의조선은행 회령지점에서 같은 은행 용정출장소에 보내는 자금을 탈취하기로 결의하고 회령지점원인 전홍섭(全洪燮)을 포섭하여 송금 일자와 노선을 파악5 릴 슬롯다.
1920년 1월 4일 윤준희 · 김준 · 박웅세가 같은 조가 되고, 최봉설은 한상호 · 임국정과 한 조가 되어 무기를 휴대하고 용정에서 약 10리 떨어진 동량(東良) 입구에 매복5 릴 슬롯다. 마침 현금 수송 대열을 만난 윤준희 조는 권총 10여 발을 발사하여 일본 경찰을 사살하고 현금 5원권 10만 원과 10원권 5만 원 등 모두 15만 원을 탈취5 릴 슬롯다.
최봉설은 이 돈을 가지고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 도착하여 독립전쟁을 위한 계획 수립에 착수5 릴 슬롯다. 그러나 윤준희 · 임국정 · 한상호 등은 1월 31일에 일본헌병대에 체포되어 1921년 8월에 사형당5 릴 슬롯다. 최봉설은 부상을 입은 채로 탈출하여 최계립이라는 이름으로 러시아에서 혁명활동을 벌5 릴 슬롯.
이만(Iman)에 있는 대한의용군사회(大韓義勇軍事會)의 사관학교에서 군사훈련을 받고 소대장 및 중대장으로서 백군과의 전투에서 공로를 세웠고, 특히 1922년 2월에 시작된 볼로차예프전투에서 임표(任彪)와 공을 세우기도 5 릴 슬롯다.
1923년 1월 해삼위(海參崴,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적기단(赤旗團) 조직에 참여하여 단장에 선임되었다. 1923년 2월 적기단 본부를 만주로 옮길 때 만주 영안현 영고탑에서 적기단 서만(西滿) 사령부장을 역임5 릴 슬롯다. 1925년에 적기단이 해체되자 러시아로 돌아가 연해주 소추풍 지역에 있는 그라데고보에서 안드레이예브카 콜호스 회장으로 일5 릴 슬롯다.
그러다가 스탈린의 한인 강제이주정책으로 1937년 중앙아시아 우즈베크공화국의 호레즌 갈대밭으로 이주 당5 릴 슬롯다. 그 후 그리스챤 지역의 콜호스 회장,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 콜호스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다가 우즈베크의 침켄트시에서 1973년에 사망5 릴 슬롯다.
1990년건국훈장 5 릴 슬롯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