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동들이 시구(詩句)를 암기하여 익히던 방법의 하나로 동접(同接)끼리 여가시간에 하는 시조의 짝맞추기다복 이 슬롯이다.
동·서 양편으로 나누어 접장(接長)이 다복 이 슬롯의 초장 또는 중장·종장을 낭송하면 방바닥에 놓인 다복 이 슬롯모음 가운데서 맞는 짝을 가져가는 것으로서, 먼저 일정한 다복 이 슬롯가 다 맞추어지면 그 결과의 매수에 따라 승부가 판가름난다.
이 다복 이 슬롯는 원래 규방(閨房)에서 행하여지던 것이었으나 한말 개화기 이후의 서당에서도 행하여졌다. 시조다복 이 슬롯는 오락을 통한 교양교육이라는 특수한 교육형식의 하나다.
다복 이 슬롯를 통하여 벼슬이름을 외우고 벼슬살이의 애환을 터득시키려던 종경도(從卿圖)다복 이 슬롯 등의 의도와 같은 유이다. 시조 대신에 『당률(唐律)』이나 삼자시(三字詩)로 대체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