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6판. 1954년 문예사(文藝社)에서 간행되었다. 작자의 첫 시조집으로 장정과 구성은 시조시인 김상옥(金相沃)이 하였다. 책머리에 자서(自序)가 있으며 구성은 5부로 나뉘어 총 59편이 실려 있다.
제1부에 「봄」·「춘소(春宵)」·「개구리」·「국화」 등 11편, 제2부에 「아침」·「바다」·「먼 생각」·「매미의 노래」 등 15편, 제3부에 「연(蓮)꽃」·「화관(花冠)」·「무지개」·「새벽달」 등 13편, 제4부에 「인경」·「고가(古家)」·「열녀비(烈女碑)」·「폭포」 등 8편, 제5부에 「맥령(麥嶺)」·「어디로 가야 하리」·「안타까움」·「병상(病床)」 등 12편이 수록되어 있다.
자서에서 “이 분하고 슬픈 동경이 무슨 증세처럼 앓려질 때 이 시조를 써온 것이니 하잘것 없는 노래쪽인즉, 그대로 호젓한 생애의 반려요 의지였다.”고 말하고 있다. 자기의 수줍은 분신을 옥빛 ‘모시치마’로 단장시켜 세상에 내보내어 남앞에 온갖 애환을 호소하는 것 같아 민망하기도 하지만, 지난날의 자신을 만나보는 것 같고, 그 ‘모시치마’에게 눈부신 광명을 향하여 나부끼는 새 의상을 입혀야겠다는 과제와 결의를 다지기도 하였다.
권두시 「봄」은 “낙수소리 듣자 미닫이를 열뜨리니/포근히 드는 볕이 후원에 가득하고/제가끔 몸을 차리고 새움들이 돋는가”라고 되어 있는데, 저자는 여기서 어떠한 거창한 주제의식을 형상화하기보다는 인간의 일상적 삶을 여성특유의 섬세한 감각과 정감을 기조로 맑고 고운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다복 이 슬롯적 여성의 기다림과 안타까움, 소박하고 연연한 정(情)이 흘러 넘치는가 하면, 고독과 깊은 사념(思念)의 시세계를 이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