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 카페 슬롯 청자 투각 모란당초문 화장갑 ( )

목차
공예
물품
고려 시대의 청자 화장상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티 카페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화장상자.
내용

높이 11.8㎝, 너비 21.8㎝×14.8㎝.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장방형에 네 모서리를 꽃잎처럼 모를 죽이고, 티 카페 슬롯은 고려청동합·자기합·경상(經箱)처럼 윗면의 주연을 비스듬히 모를 죽여 2단형식으로 만들었다.

갑의 내부는 가운데 2칸이 나 있는데 가운데 칸막이가 위까지 올라오지 않고 나지막한 것을 보면 그 위에 접시 같은 속선반을 올려놓았던 것 같다. 실제로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비슷한 형식의 화장갑에는 속선반이 남아 있고, 거기에 여러 개의 조그만 화장용 내합이 들어 있는 예가 티 카페 슬롯.

밑바닥을 제외한 전면은 정교한 투각으로 각종 문양을 나타내고, 투각된 상태에서 유약을 입혀 보석처럼 빛난다. 밑짝의 문양은 주문양이 당초문이며, 그 위에 좁은 당초문대의 종속문이 한 줄로 파도모양을 하고 티 카페 슬롯. 뚜껑의 주문양은 모란당초문이며 가운데에 능화형을 만들고, 그 속에 모란이 양쪽으로 가지를 벌려 꽃이 활짝 피어 티 카페 슬롯.

능화형 외곽에 당초문이 있고 종속문으로 측면에 여의두문대(如意頭文帶)가, 측사면에 밑짝과 같은 당초문대가 티 카페 슬롯. 유약은 고려 인종(仁宗)의 장릉(長陵)에서 출토된 청자들과 마찬가지로 전면에 두껍게 입혀져 있으며 환원번조되었고 용융상태도 양호하다. 유약은 투각된 꽃 문양과 어우러져 햇빛을 받은 아침이슬과 같이 영롱하다.

자기의 번조기술은 불길에 의존하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것으로, 더욱이 전면에 정교한 티 카페 슬롯이 있을 경우 번조 후의 결과를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특히, 이 갑은 둥근 것이 아니고 육면이 편평한 판상이므로 실패율이 더 많아 세계적으로 그 유례가 매우 드문 것이다.

실제로 이 갑은 상자 밑바닥에 규석받침을 촘촘히 받쳐 50개에 이르고, 뚜껑 안쪽에도 20여 개 정도의 규석받침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밑짝 안쪽 바닥에도 칸마다 10개에 가까운 규적받침 흔적이 티 카페 슬롯. 이것은 편평한 뚜껑형이 주저앉는 것을 막기 위하여 뚜껑과 내부 밑바닥 사이에 내화물(耐火物)로 기둥을 만들어 받쳐놓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른 청자합의 경우와 같이 티 카페 슬롯과 밑짝은 덮어서 번조하였기 때문에 티 카페 슬롯과 밑짝이 맞닿는 부위의 유약만을 깨끗이 훑어내고 내화토 가는 모래비짐눈으로 받쳐 번조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티 카페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티 카페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티 카페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