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33.8㎝, 입지름 8.4㎝, 밑지름 13.5㎝.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아가리 부분은 나팔같이 벌어졌고 목이 길며 몸체 부분이 매우 풍만하다. 목 부분에서 몸체 rt 슬롯 부분에 이르기까지 전면에 대나무를 양각으로 나타냈고, 대마디는 두 줄의 음각선으로 표현되었다.
넓고 낮은 굽다리와 굽 한쪽 바닥에는 유약을 훑어내고 모래가 섞인 내화토(耐火土)빚음을 받쳐 번조한 흔적이 남아 있다. 유색(釉色)은 맑은 담녹색을 띤 비색유로 약간의 빙렬(氷裂)이 나 있으며, 몸체 rt 슬롯 면에는 산화되어 변색된 곳이 있다.
아가리 부분에서부터 몸체 rt 슬롯 부분에 이르기까지 부드럽고 유연하게 내려온 곡선이 아름답고 운치가 있으며, 몸체 부분은 풍만하여 안정감을 준다. 위로 뻗은 대줄기는 면이 좁아진 어깨 위에서 두 줄기가 자연스럽게 한 줄기로 합쳐져 좁고 긴 목 부분에 이른다. 이렇게 자칫 번잡해졌을 목 부분을 능숙하게 처리함으로써 완성도 높은 작품이 되었다.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가마터에서 비슷한 파편이 출토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