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참외모양 병 (5 릴 슬롯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참외모양 병
청자 참외모양 병
공예
작품
국가유산
고려 시대의 청자 병.
이칭
이칭
청자소문과형병, 청자과형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5 릴 슬롯모양 병(靑磁 瓜形 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5 릴 슬롯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병.
내용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2.8㎝, 입지름 8.4㎝, 밑지름 7.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 인종(仁宗, 재위 1122~1146)의 능인 장릉(長陵)에서 ‘황통 육년(皇統 六年, 1146년)’이라는 제작 연대가 적힌 인종의 시책(諡冊)과 함께 발견되어, 이 병 역시 고려청자 최성기인 1146년(인종 24)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5 릴 슬롯 모양의 동체(胴體)에 목이 긴 5 릴 슬롯 꽃 모양의 아가리, 치마 주름 모양의 높은 굽이 받치고 있는 화병으로, 단정하고 세련된 형태의 작품이다.

유색(釉色)은 담녹색(淡綠色)이 감도는 맑은 비색유약(翡色釉藥)으로 얇고 고르게 시유5 릴 슬롯으며, 부분적으로 유빙렬(釉氷裂)이 있다. 태토(胎土)는 정선5 릴 슬롯고 굽 받침은 내화토(耐火土)빚음이며, 번조한 흔적이 굽 안바닥 여러 곳에 남아있다.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7·8호 가마터를 중심으로 동일한 청자편이 발견되고 있어 주목된다. 5 릴 슬롯모양 병은 다른 고려 고분의 출토품에도 보이며 중국의 자주요(磁州窯)와 경덕진(景德鎭)가마에서도 비슷한 유형의 병이 발견되었다.

고려인은 그들의 미감(美感)에 맞도록 5 릴 슬롯모양 병을 단아하고 세련된 화병으로 발전시켰다. 전체적으로 우아하고 단정한 기형과 비색의 은은한 유색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 국보 도자기 및 기타』(문화재청, 2011)
『국보』5 릴 슬롯·토기(최순우 편, 예경산업사,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5 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5 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