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청자 상감 매죽학문 매병 (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공예
작품
국가유산
고려 시대의 청자 매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상감매죽학문 섀도 어 슬롯 강화(1993)(靑磁 象嵌梅竹鶴文 梅甁(1993))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섀도 어 슬롯 강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3년 09월 1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매병.
개설

1993년 보물로 지정섀도 어 슬롯 강화다. 높이 33.0㎝, 입지름 5.2㎝, 밑지름 11.0㎝.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내용

이 작품은 고려 시대 전형적인 섀도 어 슬롯 강화으로 반구형(盤口形)으로 각이 져 세워진 아가리가 짧은 목을 통해 풍만하게 벌어지는 어깨로 이어진다. 동체는 저부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져 내려가다가 다시 벌어지는 형태이다.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문양은 동체 양쪽에 대칭으로 바람에 흔들리는 가늘고 길게 세워진 매화(梅)와 대나무(竹)가 배치되었고, 그 사이에 역시 대칭으로 위에서 내려오거나, 위로 올라가거나, 땅 위에 서 있는 3마리의 학들이 흑백상감으로 섬세하고 회화적으로 표현되었다.

유색(釉色)은 담청록색(淡靑綠色)으로 전면에 고르게 시유섀도 어 슬롯 강화으며, 기면 일부에 미세하게 빙렬(氷裂)이 나있어 그 사이로 흙물이 스며있다. 굽다리는 안바닥을 깎아 세웠으며 점토가 섞인 내화토(耐火土) 받침을 9곳에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굽다리 일부는 결손섀도 어 슬롯 강화다.

제작 시기는 기형과 문양으로 보아 12세기 후반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유천리요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우계리에서도 파손된 섀도 어 슬롯 강화 조각들로 출토되었다.

이와 비슷한 청자 섀도 어 슬롯 강화이 현재 미국 보스턴미술관(Museum of Fine Arts, Boston)에 소장되어 있다.보스턴미술관의 청자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입 부분이 파손되어 수리된 상태인데 반해 이 청자 상감매죽학문 섀도 어 슬롯 강화은 형태나 문양에 있어서 완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더욱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도자기』(문화재청, 2015)
『고려섀도 어 슬롯 강화명품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198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