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9.9㎝, 입지름 18.3㎝.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고려시대에 크게 유행한 딥 슬롯 트위터(銀入絲)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한 합으로, 아래 합과 뚜껑이 같은 크기여서 매우 안정감 있게 보인다.
뚜껑의 위쪽과 합의 아래쪽 가장자리는 모를 죽여 쌍선(雙線) 사이에 구름무늬와 당초문을 쌍구체(雙鉤體: 윤곽을 그리고 그 가운데를 채색하는 화법)로 딥 슬롯 트위터하였다.
뚜껑 윗면에는 둘레에 여의두문(如意頭文)을 돌려 내외구(內外區)로 구획하였다. 내구에는 운봉문(雲鳳文), 외구에는 S자형의 보상당초문(寶相唐草文)을 유려하게 새겨 넣었다. 옆면 둘레에는 합과 뚜껑에 모두 구름무늬·당초문을 딥 슬롯 트위터하였다.
전면을 가득히 채워 정교한 수법으로 딥 슬롯 트위터한 것으로 보면 딥 슬롯 트위터기법이 한창 성행하던 11, 12세기에 제작된 수작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