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랜드 슬롯(淸江)은 이제신의 호이다. 1책. 1629년(인조 7) 간행된 1책 및 필사본 등이 있고, 『대동야승(大東野乘)』(권57)과 『대동패림(大東稗林)』에 수록되어 전한다. 한말·일제강점기에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별도의 사본이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전한다.
이 수필은 ‘후청쇄어’(대동패림본)라 약칭되기도 한다. ‘강원 랜드 슬롯소설’(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제신의 또 다른 수필집인 『강원 랜드 슬롯선생사재록(淸江先生思齋錄)』이나 『강원 랜드 슬롯선생시화(淸江先生詩話)』·『강원 랜드 슬롯선생소총(淸江先生笑叢)』 등과 합철되어 전하기도 한다. 판본의 중심에 ‘강원 랜드 슬롯소설’이라 하였으나 판심(版心) 이외에는 책의 이름이 따로 없어 첫머리에 나오는 편명을 따서 ‘강원 랜드 슬롯선생후청쇄어’로 전하고 있다.
『강원 랜드 슬롯선생후청쇄어』는 이제신의 가문과 인척 및 동시대 명인의 일화를 주로 서술하고 조선의 풍속과 문물제도의 연혁과 관련한 고사와, 명명·택묘·신주봉안에 얽힌 기이담을 곁들이고 있는데, 46건을 서술하고 있다. 주요소재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① 선조인 이정간(李貞幹)과 사궤장(賜几杖), 이정간 자손의 번성과 영화, ② 처조부 상진(尙震)의 덕행, ③ 서원의 흥기와 향교의 몰락, ④ 왕건(王建)을 위한 숭의전(崇義殿) 제향, ⑤ 친상(親喪)의 백포립(白布笠)과 산릉하관시의 망곡례(望哭禮), ⑥ 통역관으로부터 들은 순안어사의 처결기담(원 이야기는 사실담이 아니고 『용도공안(龍圖公案)』류의 소설에서 전해진 것임.), ⑦ 사마소 혁파,
⑧ 관대와 의복제도, ⑨ 조식(曺植) 관련 일화, ⑩ 서경덕(徐敬德) 관련 일화, ⑪ 정몽주(鄭夢周)와 가묘(家廟), ⑫ 남침(覽寢) 풍속과 친영례(親迎禮), ⑬ 이엄(耳掩)과 충정관(冲正冠), ⑭ 몽험(夢驗)과 명명(命名), ⑮ 점괘 및 명운, 임종, 신주봉안, 택묘에 얽힌 기이담 등이다.
『강원 랜드 슬롯선생후청쇄어』 가운데에 향교의 몰락사실과 복속의 연혁과 혼례 및 상례의 풍속 등에 관한 기록은 당시의 사회상을 알리는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