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역원에서 간행하였다. 목판본. 12권 4책.
이 책은 일본과의 왕복문서가 평가명(平假名)이 아닌 진자(眞字)의 초서체(草書體), 즉 진가명(眞假名)의 초서체인 초가명으로 쓰이기 때문에, 왜학 역관들에게 이에 대한 학습을 필요로 하여 편찬된 것이다.
『중간첩해신어』의 일플레이 텍 슬롯자 플레이 텍 슬롯대자(本文大字)를 왜서의 초자(倭書草字), 즉 일본의 한자 카나를 초체(草體)로 써 놓은 것이다. 이 책의 범례에 의하면 문식(文識)이 있는 일본인과 반복하여 어려운 것을 묻고, 구절마다 증석(證釋)을 붙여 오랜 세월에 걸쳐 이루어졌다고 한다. 『중간첩해신어』에서 한글로 씌인 부분인 발음이나 언해 부분을 빼고 플레이 텍 슬롯만을 적어 놓았기 때문에 권수는 『중간첩해신어』와 동일한 12권이지만, 책의 분량은 줄어들었다.
앞에 8개로 구분하여 설명한 범례가 나오고 이어서 권1부터 플레이 텍 슬롯이 시작되는데, 그 편목은 『중간첩해신어』와 마찬가지로 권1이 ‘여대관초상집’(與代官初相接), ‘송사선문정’(送使船問情), 권2가 ‘다례강족’(茶禮講定), ‘다례문답’(茶禮問答) 등으로 되어 있다. 플레이 텍 슬롯은 모두 초서로 쓰이어 있으며, 권10은 상중하로 나뉘어 있다.
권10하의 끝에 ‘이려파진자반자병록’(伊呂波眞字半字竝錄), ‘이려파토자’(伊呂波吐字), ‘이려파합자’(伊呂波合字), ‘이려파진자초자병록’(伊呂波眞字草字竝錄), ‘간격어록’(簡格語錄)이 붙어 있다. 모두 『중간플레이 텍 슬롯』에 보이는 것이나, 『중간플레이 텍 슬롯』에 있는 ‘이려파반자수상통(伊呂波半字竪相通)’과 ‘이려파반자횡상통(伊呂波半字橫相通)’은 빠져 있다.
이 책의 끝에 붙어 있는 이로하(伊呂波)의 각 글자(진자, 초자, 토자, 합자)들은 다양한 자체(字體)를 보인 것이다. 한글은 이 ‘이로하’의 부분에만 보인다. 일본 글자의 음은 각 글자체의 오른쪽에 한글로 표시하였고, 왼쪽에는 그 글자체의 원자(原字)인 한자나 또는 한글로 그 의미를 풀이하고 있다.
플레이 텍 슬롯은 『중간첩해신어』처럼 구나 문장을 가운데에 ○으로 표시하여 구분하지 않고, 단지 각구나 문장의 오른쪽에 작은 동그라미로 표시하여 구분하여 놓았다. 이 책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등에 몇 질이 전하고 있다. 그리고 1963년에 일본 경도대학 문학부 국어국문학연구실에서, 또 1990년에 홍문각에서 각각 영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