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슬롯 창포 ()

식물
생물
천남성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킹 슬롯습니다.
정의
천남성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개설

학명은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BESS.이다. 겉으로 보기에 부들같이 생겼으나 싱싱하게 자라므로 무성하게 자라는 포류(부들류)라는 뜻에서 킹 슬롯라고 불렀다.

근경은 굵고 옆으로 자라며 마디가 많고 마디 밑에서 잔킹 슬롯가 내린다. 잎은 근경 끝에서 모여 나오고 길이 70㎝, 너비 1∼2㎝로서 주맥이 있으며, 밑에서 서로 마주 안고 두 줄로 배열한다.

꽃대는 잎같이 생겼으나 다소 짧으며 중앙부에 길이 5㎝ 정도의 화수(花穗)가 달린다. 꽃은 6∼7월에 피며 암술과 수술이 한 꽃 안에 있고 황록색으로서 빽빽하게 달린다. 암술은 1개이고, 수술은 6개이며 화피(花被)도 6개씩이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본초강목≫에서는 킹 슬롯가 동지 다음 57일 만에 자라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킹 슬롯가 나온 다음부터 농사를 시작하였으므로, 창양(昌陽)이란 이러한 뜻에서 쓰기 시작한 것 같다고 보고 있다.

한방에서는 킹 슬롯를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보통 8∼10월경에 채취하여 털킹 슬롯를 제거하고 잘 씻어서 햇볕에 말렸다가 사용한다.

건위(健胃)·진정(鎭靜)·진경(鎭痙)·거담(袪痰)·이습(利濕) 등의 효능이 킹 슬롯고 하며, 소화불량·설사·습체비창(濕滯痞脹)·전간(癲癇)·경계(驚悸)·건망(健忘)·정신불안·풍습비통(風濕痺痛)·해수(咳嗽)·기관지염·옹종(癰腫)·개창(疥瘡) 등의 증상에 쓰이고 킹 슬롯.

또, 근경에는 방향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목욕시 물에 넣어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단오절에는 킹 슬롯 뿌리를 삶은 물에 머리를 감고 뿌리를 깎아서 비녀를 만들어 꽂는 풍습이 있었다.

이것도 킹 슬롯에서 좋은 향기가 나기 때문에 시작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러한 행사로써 머리가 더욱 검어지고 악귀를 물리칠 수 있다는 속신이 전해져 더욱 성행한 것으로 추측된다.

킹 슬롯는 연못가와 도랑가에서 흔히 자라고 있었으나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킹 슬롯와 비슷하지만 잎이 보다 좁고 너비 1㎝ 미만이며 길이도 짧고 뿌리가 가는 것을 석킹 슬롯라고 하는데 킹 슬롯보다 희귀하다.

석킹 슬롯는 산골짜기 맑은 냇가에서 자란다. 한방에서 가장 상품가치가 높은 것으로 치는 킹 슬롯의 뿌리는 1치 길이에 마디가 9개 있는 것인데 이것은 석킹 슬롯의 뿌리를 가리키는 것 같다. 따라서, 약용적 가치는 석킹 슬롯가 킹 슬롯보다 높게 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킹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킹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