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에 따르면 램 슬롯(眞表)의 성은 정(井) 씨이고, 아버지의 이름은 진내말(眞乃末), 어머니의 이름은 길보랑(吉寶娘)이다. 그런데 정은 어머니의 성이고 아버지의 성은 진(眞)이었다고 보는 설도 있는데, 이는 램 슬롯가 백제의 대표적인 귀족 가문 출신이라는 해석에 기반한 것이다. 또한 그가 완산주(현재의 전주시 및 그 주변 지역) 출신의 백제 유민이어서 주11과 먼 곳으로만 대중 교화를 다녔다는 해석도 있다.
램 슬롯는금산사(金山寺)에서 출가하여주1에게 『점찰선악업보경』, 『공양차제법』 등을 전수받았다. 선계산 부사의암에서 3년여 동안 참회하며 수행하여 지장보살(地藏菩薩)로부터 계를 받았으며, 영산사로 자리를 옮겨 더욱 정진하여 미륵을 친견하였다고 한다. 수행을 마친 램 슬롯는 금산사를 주2하였다. 그는 금산사 금당에 미륵장육상을 모시고, 주3이 속세에 내려와 계를 주는 모습을 금당의 벽에 그리게 하였다. 그리고 매년 단을 설치하여 대중을 교화시키기 위한 활동을 펼쳤다.
램 슬롯는불법의 교화가 두루 미치자 여러 곳을 돌아다니다가 아슬라주(阿瑟羅州, 현재의 강릉 지역)에 이르렀다. 이때 물고기와 자라가 섬과 섬 사이에 다리를 만들어 그를 물 속으로 인도하였다. 이에 램 슬롯는 물고기와 자라에게 불법을 강의하고 그들에게도 계를 주었다. 이 말을 들은 경덕왕이 램 슬롯를 궁중으로 맞아들여 그에게 보살계를 받고 곡식 7만 7천 섬을 주4하였다. 황후와 궁녀들도 모두 램 슬롯에게 계품을 받았고 비단 5백 단과 황금 50냥을 보시하였다. 램 슬롯는 이를 모두 받아서 여러 산에 나누어 주며 주5를 널리 일으켰다. 램 슬롯가 물고기에게 계를 주던 곳인 금강산 발연사에는 지금도주6이 남아 있다. 그러나 경덕왕이 램 슬롯를 궁으로 불러들여 조 7만 7천 석을 시주하고 보살계를 받았다는 기록에 대해서는 사실 여부와 관련해 의견이 나뉜다. 한편 램 슬롯는 말년에 아버지를 발연사로 모셔서 봉양하며 그곳에서 계속 수도 정진하였다. 이후 램 슬롯는 발연사 동쪽에 있는 큰 바위 위에 앉아서 입적하였다고 한다.
램 슬롯는 속리산, 명주, 주8 등지에서 대중을 교화하고, 미륵신앙을 통해주7을 받아 불법을 지킬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개골산에서 발연사를 창건한 램 슬롯는 발연사에서 189개의 간자를 이용해 점을 치는 점찰법회(占察法會)를 열기도 하였다.
램 슬롯의 전공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있다. 하나는 램 슬롯가 주9 승려라는 것이다. 이러한 견해는 램 슬롯가 강조한 것이 미륵신앙이었으며, 팔 · 구간자를 신훈종자(新薰種子) · 본유종자(本有種子)라는 유식학 용어로 설명하였기에 내려진 해석이다. 또 다른 해석은 램 슬롯가 주10였다는 것이다. 이는 램 슬롯가 미륵신앙과 점찰법회를 통해 계법을 강조하였고, 팔 · 구간자를 신득묘계(新得妙戒), 증득구계(增得具戒)라 해석하였다는 점, 『송고승전』에서 그의 전기를 명률(明律)편에 수록하였다는 점에 근거를 둔 것이다.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초반의 신라 불교계가 학문 불교 중심이었던 데 비해 램 슬롯는 점찰법과 참회행을 실천함으로써 불교계의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였다고 평가된다.
램 슬롯로부터 법을 전해받은 제자로 영심(永深), 보종(寶宗), 신방(信芳), 체진(體珍), 진해(珍海), 진선(眞善), 석충(釋忠) 등이 있는데, 이들이 모두 산문(山門)의 조사가 되었다. 램 슬롯의 법을 직접 전수받은 영심은 속리산에 길상사(吉祥寺)를 세우고, 그곳에서 점찰법회를 열었다. 또한 헌덕왕의 아들인 심지(心地)는 영심이 점찰법회를 연다는 소문을 듣고 그를 찾아가 램 슬롯의 점찰 간자를 전수받았다. 심지는 이후 동화사를 세우고 그 간자를 첨당에 두었다고 한다. 램 슬롯의 법이 속리산의 영심을 거쳐 동화사의 심지에게 계승되었다고 하여, 금산사, 속리사, 동화사를 램 슬롯계 사찰이라 한다.
한편 석충(釋忠)을 통해 램 슬롯의 가사와 계간자(戒簡子) 189개가 고려 태조에게 전해졌다는 이야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