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는 검기무(劍器舞) 또는 버 슬롯로 일컬어온 정재(呈才)의 한가지이다. 조선 중기 이후로 계속 연행되어왔으며, 그 무보(舞譜)는 조선 말기의 『각정재무도홀기(各呈才舞圖笏記)』에서 전해진다.
버 슬롯검무의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었던 사람 중에는 김자진(金子眞, 예명 彩玉, 1903년생) · 김옥주(金玉珠, 예명 貞子, 1904년생) · 강귀례(姜貴禮, 1906년생) 등이 가장 연령이 많았다. 그러나 이들은 연령으로 보아 한말 궁중진연(宮中進宴) 등에는 참여하지 못했을 것으로 추측되며, 1910년 전후 교방(敎坊)에서 검무를 배운 것으로 보인다.
버 슬롯검무는 1967년 1월 16일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검무는 국립국악원을 비롯해 서울지방에서 오늘날까지 끊이지 않고 연행되어온 궁중정재 중의 하나로, 버 슬롯검무는 나름의 특징적인 면이 있기도 하지만, 검무의 원형은 충무북춤(舞鼓, 일명 勝戰舞)과 함께 고종 때의 『정재무도홀기』와 국립국악원에 전하는 사위에서 찾는 것이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