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사이트 추천 진위전 ()

목차
과학기술
제도
진(津) · 도(渡)의 운영재정을 충당하기 위하여 지급해 준 토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사이트 추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진(津) · 도(渡)의 운영재정을 충당하기 위하여 지급해 준 토지.
내용

이 진·도는 관진(關津)이라고도 하는데, 수륙(水陸)의 중요한 지점에 설치, 도성의 출입자를 검색하였다. 또한, 임금의 능행(陵行)이나 일반인이 한강을 건너는 데 필요한 교통기관의 하나였으며, 따라서 진·도에는 관선(官船), 즉 진선(津船)을 배치하여 내왕인을 실어 날랐다. 그리고 진·도를 관리하기 위하여 도승(渡丞)과 진리(津吏) 그리고 슬롯 사이트 추천(津夫) 또는 진척(津尺) 등을 두었다.

진위전은 진·도에 속한 도승이나 슬롯 사이트 추천 등에게 직역(職役)의 반대급부로서 지급된 것으로 도전(渡田), 즉 늠급위전(廩給位田)과 슬롯 사이트 추천전(津夫田)으로 나누어진다. 도전은 1445년(세종 27) 도승이 파견된 한강도(漢江渡)·삼전도(三田渡)·양화도(楊花渡) 등에 늠급위전 8결(結)을 지급한 데서 알 수 있으며, 『경국대전』 호전 늠전조에는 아록전(衙祿田)으로서 8결씩 지급되고 있다.

한편, 슬롯 사이트 추천전은 진척위전(津尺位田)이라고도 하는데, 1445년의 기록에 의하면 대로인 한강·노량·삼전·양화·임진·벽란도 등의 진척에게 10결, 중로인 광진·낙하·금강 등은 3결, 기타 소로의 진·도에는 1결씩 지급하였다. 그 뒤 수정되어 『경국대전』에서는 대도(大渡) 10결50부, 중도(中渡) 7결, 소도(小渡) 3결50부씩 지급하도록 규정되었다.

이와 같은 진위전의 운영형태는 슬롯 사이트 추천전은 자경무세지(自耕無稅地)로 스스로 경작하여 사용되었으며, 도전(渡田:衙祿田)은 각자수세지(各自收稅地)로서 일반 민전(民田)에서 수세하는 토지였다.

그러나 이러한 진위전도 조선 후기에 이르러 권세가에 의한 수탈의 대상이 되어 진·도의 운영에 커다란 차질을 초래하였다. 그리하여 1710년(숙종 36)에는 진·도를 훈련도감·총융청·어영청·금위영·수어청 등 5군영(軍營)으로 하여금 분담, 관리하도록 하였으며, 진선·슬롯 사이트 추천의 확보는 물론 진위전도 증액하여 효과적인 운영책을 도모하였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금영진선등록(禁營津船謄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슬롯 사이트 추천사(漢江史)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슬롯 사이트 추천(漢江)-』(최완기, 서울시사편찬위원회, 1986)
『서울육백년사(六百年史)』 -슬롯 사이트 추천전기(朝鮮前期)의 교통통신(交通通信)-(이현종, 서울시사편찬위원회, 1977)
「경강진(京江津)·도선(渡船)에 대하여」(이현종, 『향토서울』27,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슬롯 사이트 추천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