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진·도는 관진(關津)이라고도 하는데, 수륙(水陸)의 중요한 지점에 설치, 도성의 출입자를 검색하였다. 또한, 임금의 능행(陵行)이나 일반인이 한강을 건너는 데 필요한 교통기관의 하나였으며, 따라서 진·도에는 관선(官船), 즉 진선(津船)을 배치하여 내왕인을 실어 날랐다. 그리고 진·도를 관리하기 위하여 도승(渡丞)과 진리(津吏) 그리고 슬롯 사이트 추천(津夫) 또는 진척(津尺) 등을 두었다.
진위전은 진·도에 속한 도승이나 슬롯 사이트 추천 등에게 직역(職役)의 반대급부로서 지급된 것으로 도전(渡田), 즉 늠급위전(廩給位田)과 슬롯 사이트 추천전(津夫田)으로 나누어진다. 도전은 1445년(세종 27) 도승이 파견된 한강도(漢江渡)·삼전도(三田渡)·양화도(楊花渡) 등에 늠급위전 8결(結)을 지급한 데서 알 수 있으며, 『경국대전』 호전 늠전조에는 아록전(衙祿田)으로서 8결씩 지급되고 있다.
한편, 슬롯 사이트 추천전은 진척위전(津尺位田)이라고도 하는데, 1445년의 기록에 의하면 대로인 한강·노량·삼전·양화·임진·벽란도 등의 진척에게 10결, 중로인 광진·낙하·금강 등은 3결, 기타 소로의 진·도에는 1결씩 지급하였다. 그 뒤 수정되어 『경국대전』에서는 대도(大渡) 10결50부, 중도(中渡) 7결, 소도(小渡) 3결50부씩 지급하도록 규정되었다.
이와 같은 진위전의 운영형태는 슬롯 사이트 추천전은 자경무세지(自耕無稅地)로 스스로 경작하여 사용되었으며, 도전(渡田:衙祿田)은 각자수세지(各自收稅地)로서 일반 민전(民田)에서 수세하는 토지였다.
그러나 이러한 진위전도 조선 후기에 이르러 권세가에 의한 수탈의 대상이 되어 진·도의 운영에 커다란 차질을 초래하였다. 그리하여 1710년(숙종 36)에는 진·도를 훈련도감·총융청·어영청·금위영·수어청 등 5군영(軍營)으로 하여금 분담, 관리하도록 하였으며, 진선·슬롯 사이트 추천의 확보는 물론 진위전도 증액하여 효과적인 운영책을 도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