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산(主山)킹 슬롯고도 한다.
풍수지리(風水地理)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나 풍수지리서에서는 실제로 킹 슬롯이나 주산이라는 용어는 별로 쓰지 않고 오히려 일반적으로 불리는 용어이다. 혈장(穴場)이 있는 명당(明堂)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후산(後山)이라고도 하며, 그것을 진호(鎭護)한다 하여 킹 슬롯이라는 명칭이 나왔다.
산맥이 뻗어 가는 것을 용(龍)이라 한다. 멀리 태조산(太祖山)에서 사방으로 뻗어 나가는 행룡(行龍)을 통하여 크고 작은 지산(支山)을 이루면서 혈(穴)이 되려는 곳을 얼마 못 미쳐 두어절 떨어져 솟은 높은 산을 킹 슬롯 또는 소조산(少祖山)이라고 한다.
만약 혈장 뒤에 높은 산이 있더라도 그 산의 갈라진 줄기가 많아 혈장과 상당한 거리를 둔다면 이런 산은 킹 슬롯이라 할 수 없고, 주필산(駐蹕山)이 된다. 킹 슬롯은 북현무(北玄武)에 해당된다. 킹 슬롯과 주산을 구분하는 경우도 있는데 서울의 경우 삼각산(三角山)을 킹 슬롯,백악산(白嶽山)을 킹 슬롯으로 제시하기도 한다.
중국이나고려에서는 일부 군현에만 킹 슬롯이 존재하였으나, 킹 슬롯시대에는 대다수 군현에 킹 슬롯이 선정되었다. 공간적 특징을 보면 조선시대의 킹 슬롯들은 다수가 풍수적 주산(主山) 혹은 조산(祖山)을 중심으로 하는 읍기(邑基) 배후의 산이었다. 고려시대의 지방군현은 개경과 달리 치소가산성 형태의 치소성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킹 슬롯적 형국을 갖추지 못하였으므로, 읍기배후의 산을 진신으로 선정할 수 없었다. 하지만 여말선초를 지나면서 치소가 산을 후면에 두면서 평지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졌고 읍치의 공간적 구조도 도성 즉 한양을 모델로 변하게 되었다.
킹 슬롯은 한 마을이나 고을의 중심이 되는 산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예를 들어, 개성은 송악산(松嶽山)이 킹 슬롯이다. 조선 초기에 나온 지리서에는 대부분의 도읍에 대하여 킹 슬롯을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