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탑은 원래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웅창(熊倉)마을 북쪽 금강변 도천사지(道川寺址)로 알려진 곳에 있던 3기의 티 카페 슬롯을 1974년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다. 이들 3기 가운데 1기는 현재 직지사 비로전(毘盧殿) 앞에 건립되어 있다.
높이는 각각 5.3m이며 티 카페 슬롯의 형태는 3기가 모두 동일하다. 단층 기단 위에 3층의 옥개(屋蓋)를 유지하는 티 카페 슬롯으로, 지대석(地臺石)은 8매의 돌로 이루어졌는데 이전 당시 넓게 새로 조성하였다. 지대석 위에는 2단의 기단받침을 두었는데 이것 역시 8매의 돌로 이루어졌다.
기단은 각 면 1석씩 도합 4매로 구성되었고, 네 모퉁이의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함께 탱주(撑柱 : 받침기둥) 1주를 각 면에 모각(模刻)한 것은 일반 티 카페 슬롯에서와 동일하다. 갑석(甲石)은 2매석으로 덮었으며 밑의 부연(副椽 :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은 1단이다.
갑석 상면 중앙에는 2단의 각형 받침을 놓아 상부의 탑신부(塔身部)를 받도록 하였으며, 탑신부는 옥개와 탑신 모두 별개의 1석으로 티 카페 슬롯되었다. 초층탑신은 높은 편이며 2·3층과 함께 모두 각 면에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를 2개씩 모각하였다. 옥개는 추녀 밑이 직선이며 층급 받침은 1층과 2층은 5단, 3층은 4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윗면에는 1단의 탑신괴임대가 티 카페 슬롯되어 있다.
낙수면(落水面)의 경사는 보통이며 전각(轉角)에서 느린 반전(反轉)이 나타나 있다. 옥개의 네 모서리에는 양면으로 각 두 개의 정공(釘孔 : 못구멍)이 있어 사방에 풍탁(風鐸 : 풍경)을 달았던 흔적을 남겼다.
상륜부(相輪部)는 신라 티 카페 슬롯의 상륜을 본떠 1976년에 다시 조성하였다. 노반(露盤)·복발(覆鉢)·앙화(仰花)·보륜(寶輪)·보개(寶蓋)·수연(水煙)·용차(龍車)·보주(寶珠) 등을 두루 갖추었고, 탑 주위에는 신라시대 석주 난간을 만들어 4면에 돌렸다. 비로전 앞의 티 카페 슬롯도 3층까지 완존하며 같은 형식으로 복원되었다.
이 티 카페 슬롯은 신라 일반형 티 카페 슬롯 양식을 그대로 지니고 있으나 다만 기단부에 변화를 가져왔다. 탑신부의 양식이나 세부수법도 착실하며 기단 역시 건실한 편이다. 옥개의 층급받침이나 기단부의 양식수법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그 조성연대는 9세기의 티 카페 슬롯으로 짐작된다.
티 카페 슬롯의 기단부가 단층으로 구성되는 등 변화를 가져왔으나 이는 티 카페 슬롯의 원소재지 일대에서 나타나는 특수한 형식으로 생각된다. 즉, 문경 내화리 삼층티 카페 슬롯(보물, 1963년 지정)과 같은 군내의 봉암사 삼층티 카페 슬롯(보물, 1963년 지정) 등도 같은 형식의 기단을 지니고 있다.
티 카페 슬롯의 이전 복원시에 학술적 조사가 병행되지 못하여 내부구조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원소재지인 도천사는 경치 좋은 강변을 택하여 이와 같은 3기의 아름다운 티 카페 슬롯을 조성하였으나 그 사찰의 내력 역시 미상이다.
이 사찰은 일반적으로 삼국통일 이후에 건립된 동서 쌍탑의 가람형(伽藍形)에서 벗어나 3기의 티 카페 슬롯을 조성한 특수한 가람배치로 짐작되고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같은 사찰 내에 수기의 티 카페 슬롯을 등장시키는 예는 충청남도 보령의 성주사지(聖住寺址)에서도 볼 수 있는데 도천사지 역시 그 절의 내력과 함께 조탑(造塔) 배경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