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 텍 슬롯 지옥변상도 ()

회화
개념
지옥에서 망인이 고통받는 장면을 묘사한 불화. 불화.
• 본 항목의 플레이 텍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지옥에서 망인이 고통받는 장면을 묘사한 불화. 불화.
내용

근본 불경은 ≪지장경 地藏經≫ 또는 ≪시왕경 十王經≫ 등이 중심이 된다. 불화의 경우 지장보살이 지옥의 중생들을 제도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주로 지장보살탱화를 중심으로 그 좌우에 명부(冥府)의 십플레이 텍 슬롯과 지옥의 판관(判官)·녹사(錄司)·사자(使者), 결박된 죄인의 형벌을 받는 모습들을 묘사한다.

이 가운데 해인사 사간장경에 수록된 ≪시왕경≫의 변상에는 십플레이 텍 슬롯의 장면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제1도는 망인의 중음신(中陰身)이 초7일을 지나 저승의 다리를 건너 제1 진광플레이 텍 슬롯 앞으로 나오는 모습을, 제2도는 망인이 2·7일이 되어 저승의 강을 건너 제2 초강플레이 텍 슬롯 앞에 끌려와 결박된 채 괴로워하는 장면을 그리고 있다.

제3도는 망인이 3·7일이 되면 저승의 험로가 길고 아득한 가운데 제3 송제플레이 텍 슬롯으로부터 다음 왕으로 몰아서 보내는 장면을, 제4도는 4·7일이 지난 망인이 칼을 쓰고서 제4 오관플레이 텍 슬롯 앞에 끌려와 생전의 죄업의 경중을 저울에 다는 모습을, 제5도는 5·7일의 망인이 제5 염라플레이 텍 슬롯 앞에 끌려와 업경대(業鏡臺)에 생전의 일이 나타나는 모습을, 제6도는 6·7일의 망인이 제6 변성플레이 텍 슬롯 앞에 끌려와 문책당하는 모습을 각각 묘사하였다.

제7도는 7·7일의 망인이 제7 태산플레이 텍 슬롯 앞에 칼을 쓰고 끌려와 문책당하는 모습을 묘사하였다. 이때는 이미 망인의 중음신이 과거의 업력(業力)에 의하여 다시 수생(受生)이 결정되는 장면을 묘사하였다. 제8도는 망인이 100일을 지나 제8 평등플레이 텍 슬롯 앞에서 형벌을 받는 모습을, 제9도는 1년이 지난 망인이 제9 도시플레이 텍 슬롯 앞에서 고통당하는 모습을, 제10도는 3년에 이른 망인이 제10 오도전륜플레이 텍 슬롯 앞에서 칼을 쓴 채 등장하고 있다. 그 옆에는 육도 환생(六道還生)의 모습을 묘사한 것이 나타난다.

대체로 이들은 모두 이와 같은 지옥고의 실상을 나타내어 미리 생전에 선업을 짓도록 유도하는 교훈적 의미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각 플레이 텍 슬롯 앞의 고통받는 장면이 바로 저승의 장면을 묘사한 것이라 하겠다.

이밖에도 지옥의 종류가 136가지가 플레이 텍 슬롯 하며, 이들은 8열(熱)지옥과 8한(寒)지옥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이 변상으로 나타나는 것은 모두 착한 일을 권하고 나쁜 일은 징계함을 목적으로 하는 중생 교화의 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참고문헌

『지장경(地藏經)』
『십왕경(十王經)』
「플레이 텍 슬롯불교판화의 연구」(장충식, 『불교학보』 19, 1982)
집필자
장충식(동국대학교, 미술사)
    • 항목 플레이 텍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플레이 텍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플레이 텍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