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을 가리키는 ‘이것, 그것, 저것, 무엇’과 처소를 가리키는 ‘여기, 거기, 저기, 어디’를 묶어 지시아리스 토크 랏 슬롯로 한다. 따라서, 지시아리스 토크 랏 슬롯는 흔히 사물아리스 토크 랏 슬롯와 처소아리스 토크 랏 슬롯로 다시 가른다.
그리고 이들을 화자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이것, 여기’를 근칭(近稱), ‘그것, 거기’를 중칭(中稱), ‘저것, 저기’를 원칭(遠稱)이라고 하고 ‘무엇, 어디’를 미지칭(未知稱) 등으로 부르는 것은 인칭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서 ‘이이, 이분’을 근칭, ‘그이, 그분’을 중칭, ‘저이, 저분’을 원칭, ‘누구’를 미지칭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인칭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서 ‘아무’를 부정칭(不定稱)으로 부르듯 ‘아무것, 아무데’를 지시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부정칭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지시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지시’는 무엇을 지시하는 기능이 있다는 뜻인데, 지시하는 기능은 ‘이분, 그분, 저분’의 경우에도 다를 바가 없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주된 기능이 바로 지시소(指示素, deixis)로서의 것이어서 ‘지시’는 지시아리스 토크 랏 슬롯만의 기능일 수 없다.
또, 지시아리스 토크 랏 슬롯는 인칭으로 따지면 3인칭에 해당한다. 1인칭과 2인칭에는 근칭·중칭·원칭 등의 구분이 없는데 지시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서는 그러한 구분이 있다.
그만큼 아리스 토크 랏 슬롯를 인칭아리스 토크 랏 슬롯와 지시아리스 토크 랏 슬롯로 구분하는 체계는 불합리한 점이 많아 오늘날의 문법서에는 별로 채택되지 않는 체계이다.
영어의 it, they(they가 사람을 가리키든 사물을 가리키든)가 he, she와 더불어 3인칭아리스 토크 랏 슬롯로 분류되는 것처럼 국어의 지시아리스 토크 랏 슬롯도 일단 3인칭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 소속되어야 하며, 동시에 인칭아리스 토크 랏 슬롯나 지시아리스 토크 랏 슬롯와 같은 용어는 더 적절한 용어로 조정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