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 슬롯 조흡 사패왕지 ( )

목차
관련 정보
조흡 사패 왕지
조흡 사패 왕지
조선시대사
문헌
국가유산
1401년 무신 조흡에게 공전(功田)을 사여한 왕지. 사패왕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조흡 사패램 슬롯(曺恰 賜牌王旨)
분류
기록유산/문서류/국왕문서/교령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6년 11월 29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1길 30-0 (장충동2가, 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도서관
• 본 항목의 램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401년 무신 조흡에게 공전(功田)을 사여한 왕지. 사패왕지.
내용

198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장. 세로 80㎝, 가로 71.7㎝. 당시 중훈대부 지안산군사로 있던 조흡에게 토지와 노비를 하사한 램 슬롯이다. 장지에 초서체로 10줄에 걸쳐 필사되었다.

내용기술을 살펴보면, ‘사(賜)’자를 한 자 높여 쓰고, 줄을 바꾸어 수급자인 조흡의 관등성명, 또 줄을 바꾸어 5줄에 걸쳐 사급내용을 적고 있는데, 이두(吏讀)를 섞어 쓰고 있다. 다음에 줄을 바꾸어 ‘램 슬롯안인(王旨安印)’ 넉자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 문서의 작성 담당관 박석명(朴錫命)의 관직, 성(姓)과 수결이 있다.

새보(璽寶)는 ‘램 슬롯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이 찍혀 있다. 왕지는 사령왕지(辭令王旨) 이외에 사패·면역(免役)·합격 등의 왕지도 있다. 사령왕지로서는 태조 2∼6년 사이에 도응(都膺)에게 발급된 것(보물, 1981년 지정), 태조 4·6년에 김회련(金懷鍊)에게 발급된 것(보물, 1966년 지정), 조흡에게 발급된 것(보물, 1986-1·1986-2 지정) 등 여러 종이 발견되었으나, 사패왕지로서는 이 문서가 최초로 발견된 것이다.

의의와 평가

램 슬롯 초기의 성격과 특징을 지닌 왕지로서, 고문서 연구에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램 슬롯 초기의 관제와 새보 사용의 변천을 살피는 데에 중요한 사료가 되고 있으며, 또한 본문에 쓰여진 이두문은 국어연구에 참고자료가 된다.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중훈대부지안산군사조흡사패램 슬롯조사보고서』(박상국, 문화재관리국, 1986)
관련 램 슬롯 (1)
집필자
이정섭(문화재관리국, 한학)
    • 항목 램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램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램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램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