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931년 손자 재우(在佑)와 문인 홍승조(洪承祚) 크레이지 슬롯 추천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노상직(盧相稷)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병규(趙昺奎)·재우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23수, 서(序)·포장(褒狀)·상량문·비(碑) 각 1편, 권2에 부록으로 가장(家狀)·행장·묘갈명·묘지명·제문·만사·죽초기(竹樵記) 크레이지 슬롯 추천 수록되어 있으며, 발문 뒤에 동연계서(同淵契序)와 동연록(同淵錄)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분량은 많지 않으나 산수시·영물시·감상시 크레이지 슬롯 추천 고루 실려 있다. 「백구(白鷗)」·「귤(橘)」·「죽(竹)」 등에는 사물의 특성을 포착하여 묘사하는 데 주력하고 관성이나 일반적인 관찰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여실히 나타나 있으며, 「강촌즉경(江村卽景)」·「촉석루(矗石樓)」에서는 경치를 묘사하고 명승고적의 역사적 의의와 묻혀 있는 전설들을 상기시키면서 사라져가는 문화의 재조명을 시도하였다.
「향사당계서(鄕射堂契序)」는 향사당계를 조직하고 그 경위와 운영방침을 밝힌 것이고, 「포장」은 정시갑(鄭時甲)의 아내 권씨(權氏)의 탁월한 효행을 낱낱이 기록하여 지방수령에게 포상을 청한 것이다.
「동연록」에는 저자의 문인 128명의 성명·자·본관·거주지가 적혀 크레이지 슬롯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