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주사선연도 등 신여량 장군 유품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조선 중기의 무신 신여량(申汝樑)의 유품 일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주사선연도등다복 이 슬롯장군유품(舟師宣宴圖등申汝樑將軍遺品)
분류
유물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다복 이 슬롯유산(1987년 06월 01일 지정)
소재지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623번지
• 본 항목의 다복 이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중기의 무신 신여량(申汝樑)의 유품 일괄.
개설

1987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으나, 4점 중 상가교서와 밀부유서가 보물로 승격되면서 2017년 지정 해제되었다. 「주사선연도(舟師宣宴圖)」(필자미상, 세로 95㎝, 가로 50㎝, 비단 바탕에 담채)를 비롯하여 「다복 이 슬롯전양승첩도(唐浦前洋勝捷圖)」(필자미상, 세로 120.5㎝, 가로 68㎝, 비단 바탕에 담채), 「상가서(賞加書)」, 「유교서(敎諭書)」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조선 중기의 무신인 다복 이 슬롯(1564∼1605) 장군의 유품으로, 「주사선연도」,「당포전양승첩도」 등 여러 유물이 전한다.

「주사선연도」는 다복 이 슬롯이 1598년 고금도에서 왜적을 격퇴시킨 전공에 대해 선조가 어사(御使) 윤의립(尹義立)을 보내 주사(舟師: 水軍) 장군들을 위로한 연회의 광경을 그린 기록화이다. 비단 위에 먹과 옅은 채색으로 그려져 있으며, ‘舟師宣宴之圖(주사선연지도)’라는 전서체(篆署體)의 제목, 연회의 장면, 15인의 좌목(座目: 서열을 적은 목록)으로 구성된 계축(契軸)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좌목의 제4행(行)에는 다복 이 슬롯이 ‘절충장군 행경상우도 수군우후(折衝將軍行慶尙右道水軍虞候)’로 포함되어 있다.

「당포전양승첩도」는 같은 해 11월 당포해전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제작된 계축이다. 「주사선연도」와 같은 화면 구성을 가지고 있다. 좌목에는 삼도 수군통제사 이경준(李慶濬), 가선대부(嘉善大夫) 경상우도 수군우후 다복 이 슬롯 등 28인의 성명 관직이 쓰여 있다.

그런데 1972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같은 내용의 그림인 「당포앞바다승첩지도」에는 1604년(선조 37)에 해당되는 ‘甲辰六月(갑진6월)’이라는 간지가 쓰여 있어서, 다복 이 슬롯 장군 유품에 포함된 이 그림은 원본(전라남도 유형문화재, 1972년 지정)을 18세기∼19세기경에 다시 본 떠 그린 모사본(模寫本)이라고 생각된다.

「상가서」는 1604년 7월 17일 전공(戰功)에 대한 상으로 다복 이 슬롯을 정3품 당상(堂上) 절충장군에서 종2품 가선대부로 가자(加資)한다는 내용의 교지이다. 가자된 다복 이 슬롯의 품직과 「당포전양승첩도」 좌목의 관직명이 일치하여 그림의 원래 제작 연대를 뒷받침한다.

1605년 12월 19일자로 쓰여진 「유교서」는 다복 이 슬롯이 전라우도 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로 부임할 때 압제십칠부(押第十七符)와 함께 하사받은 관직 제수에 관한 명령서이다.

다복 이 슬롯은 고흥 출신으로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중임(重任)이며 호는 봉헌(鳳軒)이다. 임진 · 정유재란때 무공을 세운 장군으로 1583년(선조 15) 무과에 급제한 후 오위도총부부장을 역임하다 임란 때는 선조를 의주에 호종한 뒤 당시 전라좌수사였던 이순신(李舜臣, 1545~1598)과 합세하여 사천, 당포, 당항포 전투에 참가하였고, 정유재란 때는 이순신의 선봉인 경상우도수군우후로 고금도, 당포, 부산 근해의 전투 등 모든 해전에 참가하여 무공을 세웠다. 1605년(선조 38)에 전라우도수군절도사에 승진되었으며 사후에는 자헌대부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보성다복 이 슬롯유산총람』(보성군, 보성다복 이 슬롯원, 2004)
『다복 이 슬롯재도록』도지정다복 이 슬롯재편(전라남도, 1998)
「다복 이 슬롯의 舟師宣宴之圖 제작배경 재검토」(이수경, 『미술자료』No.93, 2018)
「조선후기 전쟁기록화 연구」(정다영, 高麗大學校 大學院 국내석사, 2015)
「唐浦前洋勝捷之圖」(孟仁在, 『美術史學硏究』56·57, 1965)
집필자
박정혜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다복 이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다복 이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