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 엔트 슬롯 좌방 ()

목차
국악
개념
고려와 조선시대에 궁중 음악기관에서 연주된 음악을 분류한 명칭을 가리키는 국악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와 조선시대에 궁중 음악기관에서 연주된 음악을 분류한 명칭을 가리키는 국악용어.
내용

고려시대 좌방이라는 명칭은 대악서(大樂署)나 관현방(管絃房)에서 당악(唐樂)을 연주하는 갈래를 의미하였고, 그 용어는 당시 향악(鄕樂)을 연주하는 갈래를 뜻하는 우방(右坊)이라는 명칭의 대칭어로 사용넷 엔트 슬롯다.

그러다가 조선 초기에 이르러 아악의 부흥으로 인하여 좌방이라는 용어는 아악을 뜻하는 갈래의 명칭으로 변천넷 엔트 슬롯고, 그 명칭은 당시 당악과 향악을 뜻하는 우방의 대칭어로 쓰이게 넷 엔트 슬롯다.

즉, 조선건국 초기의 여러 음악기관 등이 통합된 1457년(세조 3) 당시 아악서(雅樂署)와 봉상시(奉常寺)에서 관장하였던 아악은 장악서(掌樂署)의 좌방이라는 갈래에 속하게 넷 엔트 슬롯고, 전악서(典樂署)와 관습도감(慣習都監)에서 다루었던 당악과 향악은 장악서의 우방에 소속넷 엔트 슬롯다.

장악서의 이러한 갈래 명칭은 그 뒤 장악원에 그대로 전승넷 엔트 슬롯으므로, 좌방이라는 용어는 조선 말기까지 아악을 뜻하는 명칭으로 계속 사용넷 엔트 슬롯다.

참고문헌

『넷 엔트 슬롯음악통사』(송방송, 일조각, 1984)
『악장등록연구』(송방송, 영남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0)
『넷 엔트 슬롯음악서설』(이혜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67)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