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좌방이라는 명칭은 대악서(大樂署)나 관현방(管絃房)에서 당악(唐樂)을 연주하는 갈래를 의미하였고, 그 용어는 당시 향악(鄕樂)을 연주하는 갈래를 뜻하는 우방(右坊)이라는 명칭의 대칭어로 사용넷 엔트 슬롯다.
그러다가 조선 초기에 이르러 아악의 부흥으로 인하여 좌방이라는 용어는 아악을 뜻하는 갈래의 명칭으로 변천넷 엔트 슬롯고, 그 명칭은 당시 당악과 향악을 뜻하는 우방의 대칭어로 쓰이게 넷 엔트 슬롯다.
즉, 조선건국 초기의 여러 음악기관 등이 통합된 1457년(세조 3) 당시 아악서(雅樂署)와 봉상시(奉常寺)에서 관장하였던 아악은 장악서(掌樂署)의 좌방이라는 갈래에 속하게 넷 엔트 슬롯고, 전악서(典樂署)와 관습도감(慣習都監)에서 다루었던 당악과 향악은 장악서의 우방에 소속넷 엔트 슬롯다.
장악서의 이러한 갈래 명칭은 그 뒤 장악원에 그대로 전승넷 엔트 슬롯으므로, 좌방이라는 용어는 조선 말기까지 아악을 뜻하는 명칭으로 계속 사용넷 엔트 슬롯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