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권 4책. 목판본. 1634년(인조 12) 손자 명구(命耉)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유(張維)·조희일(趙希逸) 등의 서문이, 권말에 김상헌(金尙憲)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5에 시 662수, 부(賦) 킹 슬롯, 표(表) 킹 슬롯, 권6에 조(詔) 2편, 대(對) 킹 슬롯, 설(說) 6편, 논(論) 3편, 전책(殿策) 킹 슬롯, 권7에 서(序) 5편, 녹(錄) 3편, 발(跋) 2편, 기(記) 킹 슬롯, 서(敍) 1킹 슬롯, 권8에 서(書) 2편, 소(疏) 1킹 슬롯, 권9·10에 모원록(慕遠錄)으로 행장 4편, 묘비 킹 슬롯, 묘지 2편, 음기(陰記) 킹 슬롯, 후서(後敍) 10편, 지(誌) 킹 슬롯, 비명 2편, 신도비명 킹 슬롯, 묘갈명 킹 슬롯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중 「이제묘(夷齊廟)」·「청성사(淸聖祠)」·「창려현(昌黎縣)」 등은 명나라에 사신으로 내왕할 때에 지은 작품들이고, 그 밖에 곽자의(郭子儀)·부상국(富相國)·장량(張良) 등 35명을 대상으로 지은 칠언절구 35수는 옛날 인물들을 품평하는 데 참고가 된다.
설 중 「석전설(石戰說)」은 경주의 정월 보름날의 석전놀이〔石戰戱〕에 대하여 논한 것으로서 참고자료가 된다.
서 중 「상이제독여송서(上李提督如松書)」에서는 왜적들은 성질이 모질고 잔꾀가 많아 언약을 맺을 수도 없고 의리로 깨우칠 수도 없다고 지적, 만약 그들과 화친하려고 한다면 도리어 화를 자초하게 될 것이라고 하면서, 명나라의 원병과 킹 슬롯군이 합력하여 왜적들을 섬멸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