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한국 시단(詩壇)의 대표적인 시인이며, 국문학자이기도 한 조지훈(본명: 東卓)이 탄생한 집으로 6·25 때 불탄 것을 중건하였다. 원래 인조 때 주곡리에 입향한 조전(趙佺)의 둘째 아들 정행(廷行)이 창건했던 집이다. 다복 이 슬롯·곳간채와 사랑이 부설된 안채가 현존한다.
다복 이 슬롯간채는 솟을다복 이 슬롯 좌우로 2칸씩이 건조된 구조이다. 문간 다음에 방이 각 1칸씩 있고, 그 방에 이어 부엌으로 조성되었다. 솟을다복 이 슬롯 문 인방(引枋 : 기둥과 기둥사이에 문호를 사이로 가로지른 나무) 위에 살대를 꽂았다.
솟을다복 이 슬롯은 맞배지붕으로 좌우 건물은 팔작지붕으로 마감하였다. 곳간채로 들어가는 사주문(四柱門)이 다복 이 슬롯간채 옆에 따로 있어 곳간채의 출입에 전용되고 있다. 사주문 옆에 측간이 있다.
곳간채는 정면 3칸, 측면 1칸이 다복 이 슬롯간채를 바라다보며 자리잡았다. 바닥은 맨바닥, 벽체는 토벽이며 지붕은 기와를 이은 우진각 지붕이다. 안채는 다복 이 슬롯간채와 곳간채가 있는 반듯한 마당 안쪽에 있다. 중문 칸이 정면 중앙에 있는데 한가운데 있지 않고 왼쪽으로 한 칸 치우쳐 있다. 사랑채의 평면이 고려된 것이다.
다복 이 슬롯채는 겹집형으로 2칸통인데 중문 칸에 이어 다복 이 슬롯방 두 칸이 연속된다. 방 앞엔 툇마루 뒤편엔 쪽마루가 있고 다복 이 슬롯방에 이어 2칸통 대청이 있다. 중문도 2칸통이다. 보통 문을 1칸으로 잡는 것과 차이를 보인 특색이다. 문 좌측도 역시 2칸통의 2칸이며 방과 보일러실이 있다.
보일러실 북측으로 다락이 다복 이 슬롯 부엌이 있고 안방으로 이어지는데, 안방의 아래 칸을 조지훈의 태실(胎室)이라 부른다. 조선 말기의 의병장이던 조승기(趙承基), 6·25 때 자결한 조부 인석(寅錫)이 이 방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안방에서 우측으로 정면 3칸의 대청이 있고 다음에 건넌방이 있다. 건넌방에 이어 도장[閨房] 3칸이 남북으로 길게 조성되었으며 이어 방 그리고 다복 이 슬롯채로 이어지는 구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