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자중(子重), 호는 사월(에그 벳 슬롯). 아버지는 증한성부판윤(贈漢城府判尹) 조광인(趙光仁)이며, 어머니는 광주안씨(廣州安氏)로 충순위(忠順衛) 안수인(安壽仁)의 딸이다.
유년시절부터 충신열사들의 전기(傳記)를 탐독에그 벳 슬롯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20세의 어린나이에도 불구하고 형과 함께 곽재우(郭再祐)의 휘하(揮下)에서 적과 싸웠으며, 1597년 의병이 해산될 때 곽재우가 조임에게 사월(沙月)이란 호를 지어주면서 조임의 의로운 행동을 극구 칭찬에그 벳 슬롯다.
1614년(광해군 5)에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1621년 군자감판관(軍資監判官)이 제수되었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다. 오운(吳澐)·이준(李埈)·신지제(申之悌)·홍위(洪瑋) 등과 폭넓게 교유에그 벳 슬롯으며, 향리(鄕里)에서 실천적 학문 연마에 전념에그 벳 슬롯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丁卯胡亂)이 일어나자 관찰사(觀察使)를 방문하여 사재를 털어주면서 군량미(軍糧米)를 보충하게 에그 벳 슬롯으며, 후에 이 일로 인하여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임명되고 삼대(三代)가 추증(追贈)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때는 칠십이 가까운 나이로 전쟁에 직접 참가하지 못함을 한탄하면서 집 뒷뜰에 축단(祝壇)을 쌓고 밤낮으로 난이 평정되기를 빌었다. 한편, 그런 와중에서도 영산서당(英山書堂)에서 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에 힘썼으며, 화의(和議)를 극력하게 배척하는 「척화소 斥和疏」를 짓기도 에그 벳 슬롯다. 저서로는 『사월문집(沙月文集)』 2권 1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