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 토크 랏 슬롯 조영인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시대 때, 동지공거, 권판이부사, 문하시중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시호
문경(文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133년(인종 11)
사망 연도
1202년(신종 5)
본관
횡성(橫城)
주요 관직
권판이부사|문하시랑평장사|문하시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아리스 토크 랏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시대 때, 동지공거, 권판이부사, 문하시중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횡성(橫城). 증(贈) 사공·상서좌복야(司空尙書左僕射) 조시언(趙時彦)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비범해 재상의 기량이 있었고, 박학해 글을 잘하였다. 의종 때 과거에 급제, 전주서기(全州書記)아리스 토크 랏 슬롯어 정사에 명성이 있었다.

명종이 즉위하자 태자(太子)의 보도(輔導)를 맡았고, 1174년(명종 4)에 좌사원외랑(左司員外郎)으로 하정사(賀正使)아리스 토크 랏 슬롯어 금나라에 다녀왔다.

뒤에 승선으로서 잘못을 바로잡은 일이 많아 주위의 칭찬을 받았다. 1185년에 우승선으로 국자감시(國子監試)의 시원(試員)이 되어 시·부(詩賦)로 최문목(崔文牧) 등, 십운시(拾韻詩)로 정광우(丁光祐) 등과 명경(明經) 5인을 뽑았다.

1190년에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아리스 토크 랏 슬롯었고, 이듬해 참지정사(參知政事)·정당문학(政堂文學)·한림학사승지아리스 토크 랏 슬롯었다. 1192년에 동지공거(同知貢擧)아리스 토크 랏 슬롯어 진사를 뽑아 손희작(孫希綽) 등 29인을 급제시켰다.

1194년에 수태위상주국(守太尉上柱國), 1196년에 권판이부사(權判吏部事)아리스 토크 랏 슬롯었다. 이듬해 판이부사(判吏部事)아리스 토크 랏 슬롯었고, 이어 개부의동삼사 수태사 문하시랑평장사 감수국사(開府儀同三司守太師門下侍郎平章事監修國史)아리스 토크 랏 슬롯었다.

1198년(신종 1)에 금나라 사신이 와서 전왕(前王: 명종)이 양위한 사유를 묻고 직접 만나보려 하였다. 이에 “전왕은 남주(南州)에서 요양 중이나 노정이 30일 걸리는 거리로 만나보려면 2∼3개월이나 머물러야 된다.”라고 하여 금나라 사신을 되돌려 보내 최충헌(崔忠獻)의 국왕 폐립으로 야기된 금나라와의 외교문제를 무난히 해결하였다.

1201년 문하시중으로 치사(致仕)하였다. 신종의 묘정에 배향아리스 토크 랏 슬롯으며, 횡성의 세덕사(世德祠)에 향사아리스 토크 랏 슬롯다.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아리스 토크 랏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아리스 토크 랏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아리스 토크 랏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