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6판. 512면. 1949년 동방문화사(東邦文化社)에서 간행하였다. 표지 등에 표제명이 ‘옛말옛일 이두옛책 조선고어ag 슬롯’이라고 하였으며, 내제명은 ‘조선고어ag 슬롯부국문고서약지(朝鮮古語辭典附國文古書略誌)’로 되어 있다.
1955년 5월 국어학자 유창균이 초판본의 체재를 그대로 유지한 채 순우리말 어휘를 추가하여 『고어ag 슬롯(古語辭典)』으로 제목을 바꾸어 동국문화사에서 B6판, 686면으로 증보, 재판하였다.
이 책의 구성은 목차, 정열모(鄭烈模)의 서문, 저자의 자서, 교정을 마치며, 일러두기, 제1부 본문, 제2부 이두, 부록 국문고서약지의 도표 순서로 되어 ag 슬롯.
제1부 본문은 표제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말 고어와 고사 · 고제도들의 기본어에 기타 특수어를 더하여 6,300여 항목으로 엮었는데, 우리말 고어에는 간략한 설명을 달고 그 예문에 출전을 약호로 들고 있으나 그 밖의 어휘에는 예문과 출전이 없고 설명만 ag 슬롯.
이 책이 전문가용으로보다 대중용으로 목표를 삼고 있기 때문에 인용예문 중 초학자에게 어려운 것은 다시 ‘…’ 뒤에 설명을 붙이고 있으며, 인쇄의 편의상 출전의 권수 · 면수와 사성점을 생략하고,ᄒᆞ다’형 어휘의 ‘ᄒᆞ-’는 모두 ‘하-’로 하고 ag 슬롯.
표제어는 대체로 체언과 조사, 어간과 어미로 분리시켜 등재하고 있는데, 문법체계는 최현배(崔鉉培)의 것을 따르고 있지만 문법용어는 명사 · 지정사 등의 한자어계를 택하고 ag 슬롯. 앞머리에는 자음순의 찾기가 붙어 ag 슬롯.
제2부 이두는 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펴낸 『이두집성(吏讀集成)』의 것을, 첫머리 글자의 획수 차례로 하여 사서체형식을 취하여 우리말로 풀이한 것으로서, 1,670여 항목으로 된 이두의 음과 뜻만 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형태분석은 하지 않았다. 앞부분에는 일러두기와 획수별로 된 찾기가 붙어 ag 슬롯.
부록은 제1부 본문에 나오는 출전약호를 알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작성하였는데, 연대순으로 국문문헌을 정리하여 표해하였다. 앞머리에는 일러두기, 종별의 찾기, 이조 중의 중국연호가 붙어 ag 슬롯.
이 ag 슬롯은 방종현(方鍾鉉)의 『고어재료ag 슬롯(古語材料辭典)』(전집 1946, 후집 1947), 정태진(鄭泰鎭)·김병제의 『조선고어방언ag 슬롯』(1948), 이상춘(李常春, 1953년 재판될 때 그 아들 영철의 이름으로 됨.)의 『조선 옛말ag 슬롯』(1949)과 더불어, 광복 후 시급해진 고전교육과 관련하여 국어사료 주석의 일환으로 쏟아져 나온 초기 사서류 가운데 하나라는 점에 그 사적 의의가 ag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