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 슬롯 조상경 ()

학당유고
학당유고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병조판서, 판돈녕부사,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장(子章)
학당(鶴塘)
시호
경헌(景獻)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1년(숙종 7)
사망 연도
1746년(영조 22)
본관
풍양(豊壤)
주요 관직
판서|한성부판윤
관련 사건
신임사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병조판서, 판돈녕부사,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자장(子章), 호는 학당(鶴塘). 풍안군 조흡(趙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중운(趙中耘)이고, 아버지는 돈녕부 도정 조도보(趙道輔)이며, 어머니는 김필진(金必振)의 딸이다.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08년(숙종 34) 사마시를 거쳐 1710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713년 이후 정언·지평을 지내고, 1717년 충청좌도암행어사로 다녀와 다시 지평·정언·수찬·교리·헌납 등을 역임램 슬롯다. 1720년 경종즉위 후 대사간·승지·이조참의 등을 거쳐, 1722년 신임사화 때 노론계열이라 하여 안주에 유배되었다가 아산에 이배되었다.

1725년(영조 1) 풀려나서 다음해 함경도관찰사로 부임하고, 북관군병(北關軍兵)에 조총을 복습하게 램 슬롯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노론인 정호(鄭湖)·민진원(閔鎭遠) 등이 탄핵당하자 이를 변호하다 파직되었다.

1729년 다시 기용되어 한성부좌윤·대사헌·경기관찰사·이조참판을 역임램 슬롯고, 1731년 사은 겸 동지부사(謝恩兼冬至副使)로 청나라에 건너가 『명사조선열전(明史朝鮮列傳)』을 가지고 돌아왔다.

이듬해 가자되어 이조판서에 오르고 이어 형조판서·공조판서·우참찬을 역임램 슬롯으며, 1734년 한성부판윤·병조판서에 이르러 군관치사문제(軍官致死問題)로 파직되었다.

1736년 다시 기용되어 이조판서·수어사(守禦使)·병조판서로 판의금부사를 겸램 슬롯고, 각 판서를 두루 거쳐 판돈녕부사·한성부판윤을 끝으로 죽었다. 공신의 후예이며 노론의 중심인물이다. 시호는 경헌(景獻)이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약파만록(藥坡漫錄)』
관련 램 슬롯 (3)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램 슬롯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램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