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쳐 3 슬롯 모드 제실제도정리국 ()

목차
근대사
제도
조선 말기 제실제도의 정리를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위쳐 3 슬롯 모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말기 제실제도의 정리를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
내용

1904년 10월 5일 「제실위쳐 3 슬롯 모드정리국직무장정」이 제정되었으며, 1905년 1월 23일부터 활동을 시작하였다.

직원은 칙임관인 총재(總裁) 1인, 칙임관대우의 의정관(議定官) 6인(위쳐 3 슬롯 모드대신과 고문은 당연직으로 정원 외), 주임관대우의 비서(秘書) 2인, 판임관대우의 기사(記事) 3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06년 1월 30일 폐지될 때까지 약 1년간 위쳐 3 슬롯 모드 관제의 전면개정, 경리원(經理院)의 독립 저지, 황실재정 정리를 위하여 「제실재정회의장정」·「제실회계심사국직무장정」·「제실회계규칙」 등 7개 법령의 제정, 1906년도 황실 및 위쳐 3 슬롯 모드예산안 작성 등의 일을 하였다.

총재는 이재극(李載克)이었으나 법령초안작성을 비롯한 모든 사무는 위쳐 3 슬롯 모드고문 일본인 가토(加藤增雄)가 취급하였다. 1906년 1월 30일 위쳐 3 슬롯 모드관제 개정으로 위쳐 3 슬롯 모드에 제도국(制度局)이 설치되어 그 사무를 이관하였다.

참고문헌

『고종실록』
『제실위쳐 3 슬롯 모드정리국일기』
『증보문헌비고』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위쳐 3 슬롯 모드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위쳐 3 슬롯 모드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