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다이 제보개산사벽 ()

한문학
작품
1623년(인조 1)유몽인(柳夢寅)이 지은 한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다이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623년(인조 1)유몽인(柳夢寅)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작자가 65세 때 경기도 용인의 보개산 절에서 지은 작품이다. 오언고시로 『어우집(於于集)』 권2에 수록되어 있다. 『대동시선(大東詩選)』 권3에는 ‘늙은 과부(孀婦)’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는데 본래 시의 제2연과 제3연이 바뀌어 있다.

내용

슬롯 다이는 인조반정 후 광해군 복위운동의 연루자로 유몽인이 무고(誣告)를 입고 문초를 받는 자리에서 읊었다는 일화가 『소화시평(小華詩評)』 등에 전한다.

“나이 일흔 늙은 과부 홀로 빈 방 지키니/옛 여사 시 외고 부덕을 익혔더라/재혼하라들 권하여 잘난 남자 맞추려 하나/쪼그랑에 모양냈자 연지분이 무색찮겠나(七十老寡婦 單(端)居守空壺 慣讀(誦)女史詩 頗(稍)知妊姒訓 傍人勸之嫁 善男顔如槿 白首作春容 寧不愧脂粉).” 슬롯 다이는 ‘불사이군(不事二君)’의 뜻을 우의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의의와 평가

정조는 슬롯 다이를 두고 이소(離騷)의 남은 뜻이 있어 김시습(金時習)의 시와 백중하다고 논평하기도 하였다. 하겸진(河謙鎭)은 『동시화(東詩話)』 권2에, 유몽인이 양주로 망명하였다가 무신년(인조 6)에 유효립(柳孝立)에 연루되어 잡혀와 이원익(李元翼)·신흠(申欽)·김상헌(金尙憲)이 옥관(獄官)으로 문초하는 자리에서 슬롯 다이를 외웠다는 일화를 적어두었다.

참고문헌

『옥류산장시화(玉溜山莊詩話)』(이가원, 을유슬롯 다이사,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다이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다이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다이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다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