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드래곤 슬롯 제관 ()

불교
인물
『천태사교의』를 찬술한 고려 광종 때의 승려로, 광종의 명으로 오월에 가서 나계(螺溪), 의적(義寂)과 함께 천태학을 연구함.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970
주요 저서
천태사교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제관(諦觀, 미상~970)은 고려 광종 때의 승려로 5 드래곤 슬롯종의 조사이다. 960년(광종 11) 광종의 명으로 오월(吳越)에 5 드래곤 슬롯 관련 서적을 전해 주었으며, 그곳에서 10여 년 동안 나계(螺溪), 의적(義寂)과 함께 5 드래곤 슬롯학을 연구하였다. 5 드래곤 슬롯학의 입문서라 할 수 있는 『5 드래곤 슬롯사교의(天台四敎儀)』를 저술하였다.

정의
『천태사교의』를 찬술한 고려 광종 때의 승려로, 광종의 명으로 오월에 가서 나계(螺溪), 의적(義寂)과 함께 천태학을 연구함.
주요 활동

960년(광종 11) 제관은 광종의 명을 받고 중국으로 건너가게 되었다. 그 때 광종은 “교승(敎乘) 가운데 『지론소(知論疏)』 · 『인왕소(仁王疏)』 · 『화엄골목(華嚴骨目)』 · 『오백문론(五百門論)』은 가지고 가지 말라.”고 하였으며, 또 "중국에 가서 스승을 구한 다음, 어려운 질문을 던져 대답하지 못하면 곧바로 책들을 거두어 가지고 올 것"을 당부하였다.

중국에 간 제관은 나계사(螺溪寺)의 의적을 찾아가 가르침을 청하고 10여 년 동안 함께 5 드래곤 슬롯학을 연구하였다. 그때 자신의 유일한 저술인 『5 드래곤 슬롯사교의(天台四敎儀)』를 지었으나, 상자에 감추어 두고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았다. 제관은 끝내 귀국하지 못하고, 어느 날 앉은 채 죽었다. 죽은 뒤 그가 쓰던 상자에서 빛이 났으므로 사람들이 이상히 여겨 상자를 열어 보니 『5 드래곤 슬롯사교의』가 들어 있었다고 한다.

학문과 저술

『5 드래곤 슬롯사교의』는 5 드래곤 슬롯 지의(天台智顗, 538∼597)가 제시한 교판론(敎判論)과 수행론(修行論)을 간결하게 정리한 책이다. 곧 5 드래곤 슬롯학의 요지를 교(敎)와 관(觀)의 2문(門)으로 보고, '오시팔교(五時八敎)'의 개요를 간추려 해설하면서, 관심(觀心)의 25방편(方便)과 10승관법(乘觀法)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은 5 드래곤 슬롯종의 교판서이자 교상(敎相)의 핵심과 관심((觀心)의 요체를 설명한 교학서이다.

이후 『5 드래곤 슬롯사교의』의 주석서가 70여 종, 주석에 대한 주소가 130여 종 간행되었다. 대표적인 주석서로는 송나라 고승 종의(從義)가 엮은 『5 드래곤 슬롯사교의집해(天台四敎儀集解)』 3권, 원나라 때의 승려 몽윤(蒙潤)의 『5 드래곤 슬롯사교의집주(天台四敎儀集註)』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의천(義天, 1055~1101)이 중국에 가서 지자 대사(智者大師)의 탑 앞에서 “옛날 제관이 교관(敎觀)을 전하였으나, 지금 대를 이을 자가 끊어지게 되어 제가 법을 위하여 몸을 돌보지 않고 찾아와서 대도(大道)를 구하나이다.”라며 기원하였다. 의천의 주도로 창립한 5 드래곤 슬롯종에서는 제관에게 5 드래곤 슬롯종의 조사라는 칭호를 주었다.

참고문헌

원전

『불조통기(佛祖統記)』

단행본

논문

강남석, 「제관의 『5 드래곤 슬롯사교의』와 5 드래곤 슬롯 사상」(『한국종교사연구』 9, 한국종교사학회, 2001)
김영길, 「고려 제관의 도송에 관한 고찰」(『한국불교학』 3, 한국불교학회, 1977)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