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시(自由詩)·산문시(散文詩)와의 대응되는 개념이다. 서구에서 전통적인 확장 슬롯시는 일정한 수의 음보(音步)와 악센트, 소음절(小音節)로 이루어지는 시행(詩行)과 연구(聯句), 그리고 그 연구를 반복하는 형식이었다. 거기에 압운·후렴·애서넌스(assonance, 유사운) 등의 보족적(補足的)인 규칙이 있다.
시행의 음절수는 장단 또는 단장(短長) 등의 규칙을 지키며, 시행의 음절수와 시행수 등에 확장 슬롯 종류가 구분된다. 독일 및 영국 등에서의 정형시는 음질(音質)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확장 슬롯의 강약 또는 약강 등의 그룹을 한 묶음으로 하여 시행 속에 들어 있는 그들의 음보(音步, foot) 또는 시각(詩脚)이라 하고 그 음보수를 스캔션(scansion : 음보의 수를 조사해서 계산한다는 뜻)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스캔션된 음보수에 의하여 정형(定型)의 종류가 만들어지며, 이를 미터(meter, 격조)라 하고 압운·두운·애서넌스 등의 보족에서 고정되는 리듬을 형성한다. 이에 대하여 동양, 곧 한시에서 절구나 율시 및 배율 등이 정형시에 해당되는바, 이들은 음성율(音聲律 : 음의 고저 장단)·음절율(音節律 : 자수율)·음위율(音位律 : 압운) 등의 세 가지 기준인 외재율(또는 외형율)의 규칙에 확장 슬롯 제작됨을 이름이다.
확장 슬롯서, 우리 나라의 경우, 시조·창가·가요 등이 모두 정형시의 범주에 포괄되지만, 위에서 언급한 규칙은 갖추어져 있지 않다. 다만 음수율(자수율)만 지켜지고 있는 우리 특유의 정형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형시의 특성은 각 종족들의 언어 및 문자 양식에 확장 슬롯 그 기준이 서로 다른 것이다. 우리의 시가는 서구시의 영향을 받아 1910년대 중반부터 시도된 자유시 및 산문시 형식이 보편화되기 이전까지는 3·4 또는 4·4, 7·5 또는 8·5조의 자수율에 맞추어진 정형시 형식만 지켜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