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망 슬롯 공략 정정숙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형부상서, 상서좌복야 응양상장군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형부상서|상서좌복야 응양상장군
관련 사건
묘청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피망 슬롯 공략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전기에, 형부상서, 상서좌복야 응양상장군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1129년(인종 7) 형부상서가 되었고, 1135년 상서좌복야 응양상장군(尙書左僕射鷹揚上將軍)에 이르렀다. 당시의 권신인 이자겸(李資謙)의 반대파 인물로 최홍재(崔弘宰)·이신의(李神義) 등과 뜻을 같이 하였다. 또한 묘청(妙淸)의 난 때에는 이를 토벌하는 데에 출전하기도 하였는데, 윤언이(尹彦灑)·임원애(任元敳: 任元厚)·김정순(金正純)·노영거(盧令誥) 등과 함께 중군(中軍)을 통솔한 김부식(金富軾)을 보좌하였다.

참고문헌

『피망 슬롯 공략사(高麗史)』
『피망 슬롯 공략사절요(高麗史節要)』
『윤관과 묘청 천하를 꿈꾸다』(김창현, 경인문화사, 2008)
「피망 슬롯 공략의 대외관계와 묘청의 난」(이정신, 『사총』45, 1996)
「김부식과 윤언이」(김병인, 『전남사학』9, 1995)
「이자겸일파와 한안인일파의 족당세력: 고려중기 친속들의 정치세력화 양태」(노명호, 『피망 슬롯 공략사론』17, 서울대 국사학과, 1987)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피망 슬롯 공략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피망 슬롯 공략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피망 슬롯 공략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