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 토크 랏 슬롯 정이 ()

목차
불교
인물
조선후기 도암의 제자 추붕의 법맥을 이어받아 금강산 건봉사와 설악산 내원암 등에서 후학들을 지도한 승려.
이칭
일암(日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4년(현종 15)
사망 연도
1765년(영조 41)
출생지
낭천현 관불촌(지금의 강원도 화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아리스 토크 랏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도암의 제자 추붕의 법맥을 이어받아 금강산 건봉사와 설악산 내원암 등에서 후학들을 지도한 승려.
내용

성은 김씨(金氏). 호는 일암(日庵). 낭천현(狼川縣 : 지금의 강원도 화천) 관불촌(觀佛村) 출신. 어머니는 이씨(李氏)이다. 머리 위에 해가 임하는 태몽을 꾸고 낳았으며, 어려서 모래를 쌓아 탑을 만들고 꽃을 공양아리스 토크 랏 슬롯으므로 사람들이 불종(佛鐘)이라 아리스 토크 랏 슬롯다.

16세에 설우(雪祐)를 찾아가 삭발아리스 토크 랏 슬롯으며, 20세에 도안(道安)에게 가르침을 청한 뒤, 도암의 제자 추붕(秋鵬)의 법맥을 이어받았다. 그 뒤 선과 교를 함께 닦았다. 특히, 강원의 교과서인 『능엄경(楞嚴經)』·『기신론(起信論)』·『반야경』·『원각경(圓覺經)』·『화엄경』·『전등록(傳燈錄)』·『선문염송(禪門拈頌)』과 서산대사(西山大師)의 『선가귀감(禪家龜鑑)』을 깊이 탐독아리스 토크 랏 슬롯다.

선에 있어서는 화두(話頭)인 ‘만법귀일(萬法歸一)’과 ‘조주무자(趙州無字)’를 중요시아리스 토크 랏 슬롯다. 그 뒤 국내의 명산대찰을 순례아리스 토크 랏 슬롯고, 금강산건봉사(乾鳳寺)와 설악산 내원암(內院庵)에 머무르면서 후학들을 지도아리스 토크 랏 슬롯다. 1765년 10월 22일 건봉사의 암자인 백화암(白華庵)에서 제자들을 모아 임종게(臨終偈)를 남겼다.

제자 무외(無畏)에게 “사대(四大)가 조화를 잃었으니 이제 가리라.” 하고 나이 91세, 법랍 76세로 입적아리스 토크 랏 슬롯다. 다비 일 저녁에 서기가 하늘을 뻗쳤으며, 정골(頂骨) 한 조각을 소나무 가지에서 수습하여 절 남쪽 산봉우리에 탑을 세워 안치아리스 토크 랏 슬롯다. 문집 15권이 있었다 하나 전하지 않는다. 5년 후 제자 교청(敎淸)이 비를 건봉사에 세웠다.

참고문헌

『건봉사사적(乾鳳寺事蹟)』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아리스 토크 랏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아리스 토크 랏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아리스 토크 랏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