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아리스 토크 랏 슬롯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지금의 수성리 구미동 사정지(射亭址)에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38년(인조 16) 이 지역의 유림 유황(柳璜) · 유광위(柳光渭) · 손후유(孫後裕) 등의 발의로 현재의 위치에 신축, 이전하였다.
1740년(영조 16) 명륜당을 신축아리스 토크 랏 슬롯 1776년에 중수하였으며, 1913년 직원(直員) 박흥규(朴興奎) 등의 희사로 대대적인 보수를 하였다. 그 뒤 1927년과 1932년에 명륜당을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3칸의 대성전, 5칸의 명륜당, 4칸의 양사재(養士齋), 전사재(典祀齋), 사마재(司馬齋), 전직사(典直舍)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 6현(宋朝六賢),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아리스 토크 랏 슬롯 있다. 건축형태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이다. 대성전은 맞배지붕으로 되어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 ·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이래 아리스 토크 랏 슬롯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봄 · 가을에 석전(釋奠:공자에게 지내는 제사)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 · 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소장 전적은 판본 65종 107책, 사본 31종 38책 등 총 96종 145책이 있으며, 이 가운데 ≪아리스 토크 랏 슬롯선생안 鄕校先生案≫ · ≪유림안 儒林案≫ · ≪청금록 靑衿錄≫ · ≪향안 鄕案≫ · ≪향중좌목 鄕中座目≫ · ≪아리스 토크 랏 슬롯통문 鄕校通文≫ · ≪아리스 토크 랏 슬롯매촌교폐절목 鄕校梅村矯弊節目≫ 등은 이 지방의 향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대성전은 1984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현,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