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 정여창 ()

일두선생속집
일두선생속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예문관검열, 시강원설서, 안음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백욱(伯勗)
일두(一蠹)
시호
문헌(文獻)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50년(세종 32)
사망 연도
1504년(연산군 10)
본관
하동(河東)
주요 관직
예문관검열|시강원설서|안음현감(安陰縣監)
관련 사건
무오사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예문관검열, 시강원설서, 안음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백욱(伯勗), 호는 일두(一蠹)·수옹(睡翁). 판종부시사 정지의(鄭之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전농시사 정복주(鄭復周)이며, 아버지는 함길도병마우후 증한성부좌윤 정육을(鄭六乙)이다. 어머니는 목사 최효손(崔孝孫)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혼자서 독서에 힘쓰다가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학문을 연마던파 온 슬롯. 『논어』에 밝았고 성리학의 근원을 탐구하여 체용(體用)의 학을 깊이 연구던파 온 슬롯. 1480년(성종 11)에 성종이 성균관에 유서를 내려 행실을 닦고 경학에 밝은 사람을 구하자 성균관에서 그를 제일로 천거던파 온 슬롯.

지관사 서거정(徐居正)이 그를 경연에서 진강하게 하려 했으나 나가지 않았다. 1483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8월에는 성균관 상사(上舍)의 동렬(同列)에서 그를 이학(理學)으로 추천던파 온 슬롯. 1486년 어머니가 이질에 걸리자 극진히 간호했으며, 어머니가 죽자 최복(衰服)을 벗지 않고 3년 동안 시묘던파 온 슬롯.

그 뒤 지리산을 찾아가 진양의 악양동(岳陽洞) 부근 섬진(蟾津)나루에 집을 짓고 대와 매화를 심으며 여기에서 평생을 마치고자 던파 온 슬롯. 1490년 참의 윤긍(尹兢)에 의해 효행과 학식으로 추천되어 소격서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자식의 직분을 들어 사양던파 온 슬롯.

성종은 그의 사직상소문의 끝에 “너의 행실을 듣고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났다. 행실을 감출 수 없는데도 오히려 이와 같으니 이것이 너의 선행이다.”라고 쓰고 사임을 허가하지 않았다.

그 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예문관검열을 거쳐 시강원설서가 던파 온 슬롯는데 이 때 정도(正道)로써 동궁(연산군)을 보도했으나 동궁이 좋아하지 않았다.

1495년(연산군 1) 안음현감(安陰縣監)에 임명되어 백성들의 질고(疾痼)가 부렴(賦斂)에 있음을 알고 편의수십조(便宜數十條)를 지어 시행한 지 1년 만에 정치가 맑아지고 백성들로부터 칭송을 들었다.

감사는 해결하기 어려운 옥사가 있으면 그를 만나서 물어본 뒤에 시행던파 온 슬롯. 이로 말미암아 판결에 의문나는 것이 있으면 원근에서 그를 찾아와 판결을 받았다.

민사(民事)를 돌보는 여가로 고을의 총명한 자제를 뽑아 친히 교육하였고, 춘추로 양로례(養老禮)를 행던파 온 슬롯. 1498년 무오사화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 1504년 죽은 뒤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 중종대에 우의정에 증직되었고, 1610년(광해군 2) 문묘에 승무(陞廡)되었다.

나주의 경현서원(景賢書院), 상주의 도남서원(道南書院), 함양의 남계서원(濫溪書院), 합천의 이연서원(伊淵書院), 거창의 도산서원(道山書院), 종성의 종산서원(鍾山書院) 등에 제향던파 온 슬롯다. 저서로 『일두유집(一蠹遺集)』이 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일두집(一蠹集)』
『점필재집(佔畢齋集)』
『재사당일집(再思堂逸集)』
『허암유집(虛庵遺集)』
『리평사집(李評事集)』
『래암집(來庵集)』
『동계집(桐溪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해동잡록(海東雜錄)』
『대동기문(大東奇聞)』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
『던파 온 슬롯유학사』(이병도, 아세아문화사, 1987)
집필자
송찬식(전 국민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던파 온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