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망 슬롯 pc 정부인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외명부 중 문관 · 무관의 적처에게 내린 정 · 종2품의 위호(位號).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피망 슬롯 pc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외명부 중 문관 · 무관의 적처에게 내린 정 · 종2품의 위호(位號).
내용

문무관 정2품 정헌대부(正憲大夫)·자헌대부(資憲大夫)와 종2품 가정대부(嘉靖大夫)·가선대부(嘉善大夫)의 적처(嫡妻)에게 내린 작호다.

1396년(태조 5)에 문무관 2품의 처를 현피망 슬롯 pc(縣夫人)이라 봉하였다가, 1417년(태종 17)에는 정피망 슬롯 pc으로 개정하였으며, 이 명칭이『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또한 1435년(세종 17)에는 2품 이상의 적처에게 같은 성씨를 구별하기 위하여 ‘모관모처모씨위모피망 슬롯 pc(某官某妻某氏爲某夫人)’이라 일컫게 하였다.

문무관 2품의 처는 중국 당나라에서는 국피망 슬롯 pc(國夫人), 원나라에서는 군국피망 슬롯 pc, 명나라에서는 피망 슬롯 pc이라 하였고, 고려는 공양왕 때 대군피망 슬롯 pc(大郡夫人)이라 하였다.

정피망 슬롯 pc은 남편의 고신(告身)과 함께 이루어지며, 피망 슬롯 pc의 봉작은 부도(婦道)가 곧고 바른 사람으로 봉하게 하고, 서얼출신이나 재가한 사람은 봉작하지 않고, 남편이 죄를 범하여 직첩(職牒)이 회수되거나 남편이 죽은 뒤 재가하면 이미 준 봉작도 회수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연감류함(淵鑑類函)』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피망 슬롯 pc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피망 슬롯 pc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피망 슬롯 pc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