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정동식 ()

근대사
인물
개항기 선전관, 훈련원주부, 훈련원첨정 등을 역임한 무신. 순국지사.
이칭
경필(敬必)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0년(철종 1)
사망 연도
1910년(순종 3)
본관
연일(延日)
출생지
전라북도 익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m 2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선전관, 훈련원주부, 훈련원첨정 등을 역임한 무신. 순국지사.
개설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경필(敬必).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 출신. 사헌부지평 정제호(鄭濟鎬)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76년 무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친군별영초관 겸 선전관(親軍別營哨官兼宣傳官)에 임명되었다가 충무위좌랑(忠武衛左郎)으로 옮겨졌다. 그뒤 훈련원주부 및 수주부(首主簿)로 승진m 2 슬롯다가 어모장군(禦侮將軍) 훈련원첨정이 되었다.

이때 조정군신들의 일제와의 강화 및 관리들의 부패를 통탄하여 사직m 2 슬롯다. 1910년 국권을 상실하자 통곡하며 포고문(布告文)과 토적문(討賊文), 자제들에게 주는 글 및 종족들에게 주는 글을 써놓고 완산부로 떠났다.

안찰사 이두황(李斗璜)에게 토역문(討逆文)을 제시하면서 “내가 힘이 부족하여 나라를 지키지 못m 2 슬롯으니 그 부끄러움은 이루 다 표현할 수 없다. 죽어 귀신이 되어 왜적을 섬멸, 우리 선왕의 원수를 갚겠다.” 라고 하고 공북루(拱北樓)에 올라가 의관을 정제한 다음 목매어 자결m 2 슬롯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기려수필(騎驢隨筆)』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관련 m 2 슬롯 (2)
집필자
신용하(서울대학교, 사회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m 2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m 2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m 2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m 2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