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문무잡과방목 ()

목차
관련 정보
문무잡과방목
문무잡과방목
조선시대사
문헌
국가유산
조선전기 에 시행한 문과 · 무과 · 잡과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의 명단을 수록한 방목.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문무잡과 m 2 슬롯(文武雜科 榜目)
분류
기록유산/전적류/활자본/금속활자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76년 04월 23일 지정)
소재지
강원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 오죽헌시립박물관 (죽헌동)
• 본 항목의 m 2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에 시행한 문과 · 무과 · 잡과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의 명단을 수록한 방목.
내용

197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책. 활자본. 1513년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m 2 슬롯의 구성은 문과의 갑(甲)·을(乙)·병과방(丙科榜) 16장(33인), 무과 1·2·3등방(等榜) 10장(28인), 역과(譯科) 1·2·3등방 2장(10인), 의과(醫科) 1·2·3등방 3장(9인), 음양과(陰陽科) 1·2·3등방 1장(6인), 율과(律科) 1·2·3등방 3장(7인) 등 모두 35장으로 대과급제자 93인이 수록되어 있다.

1513년에는 대과·소과가 함께 식년시로 실시되었는데, 이 m 2 슬롯은 문과에 을과로 합격한 심언광(沈彦光)에게 사여(賜與)된 것이 전래된 것이다.

조선시대의 과거는 1393년(태조 2)부터 실시되었는데, 1469년(예종 1)에 실시한 『생원진사시m 2 슬롯(生員進士試榜目)』을 1476년(성종 7)에 갑인자(甲寅字)로 인쇄한 것이 현재 발견된 m 2 슬롯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그밖에도 봉화 권정우(權廷羽) 소장의 1496년(연산군 2)에 실시한 『홍치구년병진사마m 2 슬롯(弘治九年丙辰司馬榜目)』과 1507년에 실시한 『정덕이년문무잡과m 2 슬롯(正德二年文武雜科榜目)』이 있고, 또한 1513년에 실시한 『정덕계유사마m 2 슬롯(正德癸酉司馬榜目)』을 을해자(乙亥字)로 찍은 것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m 2 슬롯 역시 조선 전기에 갑인자로 찍어낸 것으로서 활자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뿐 아니라 조선시대 주요인물들의 전기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강원도 강릉의 심종민이 소장하고 오죽헌시립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국보(國寶)12-서예(書藝)·전적(典籍)-』(천혜봉 편, 예경산업사, 1985)
관련 m 2 슬롯 (1)
집필자
이정섭(문화재관리국, 한학)
    • 항목 m 2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m 2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m 2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m 2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