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井)은 로아 캐릭터 슬롯이다. 고대에는 8가구가 하나의 로아 캐릭터 슬롯을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정괘는 로아 캐릭터 슬롯의 상을 취한 것으로, 초육(初六)은 로아 캐릭터 슬롯의 바닥이고 구이(九二), 구삼(九三)은 로아 캐릭터 슬롯 속의 물이며, 육사(六四)는 로아 캐릭터 슬롯의 안 쪽 벽, 구오(九五)는 길어올린 로아 캐릭터 슬롯물, 상륙(上六)은 로아 캐릭터 슬롯을 덮는 막이다.
로아 캐릭터 슬롯은 만물의 생명을 길러주는 물, 즉 생명수의 무한한 원천이다. 정괘의 로아 캐릭터 슬롯은 47번째 괘인 곤괘(困卦)에서 돌뿌리에 넘어지고 가시덩쿨에 살이 찢긴 자가 마실 생명수를 말하는 것이며, 이 생명수는 인간의 영혼을 위로하고 길러주는 진리를 상징한다고 말할 수 있다.
괘상은 나무를 상징하는 손괘 위에 물을 상징하는 감괘가 있는 형상인데, 이것은 로아 캐릭터 슬롯속으로 나무로 만든 두레박을 넣어 물을 길러올리는 모습을 표상한 것이다.
괘사에 “정은 마을은 옮길 수 있으나 로아 캐릭터 슬롯은 옮길 수 없다. 물의 증감이 없어 왕래하는 자가 로아 캐릭터 슬롯을 사용하니, 거의 이르러도 로아 캐릭터 슬롯물에 닿지 못하여 병을 깨면 흉하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옮겨 갈 수 없는 로아 캐릭터 슬롯의 소중함과 로아 캐릭터 슬롯물은 위로 길러 올려야 비로소 마실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한 것으로, 일을 끝까지 해서 완성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비유적으로 주장한 것이다.
그리고 6효는 로아 캐릭터 슬롯 바닥의 진흙을 쳐내고 벽을 수리하고 난 다음에 두레박으로 길어올려 차고 깨끗한 물을 마시는 과정을 표상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상육에서 “로아 캐릭터 슬롯을 긷고 막을 덮지 말 것이니 믿음이 있어 크게 길할 것이다”라고 한 바와 같이 누구나 마실 수 있도록 개방해야 함을 정괘는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