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거행되는 m 2 슬롯식으로는 불상m 2 슬롯 · 시왕m 2 슬롯 · 사천왕m 2 슬롯 · 조탑m 2 슬롯(造塔點眼) · 불화m 2 슬롯 · 가사m 2 슬롯(袈裟點眼) 등이 있다. 이들 m 2 슬롯식은 m 2 슬롯의 대상이 지니는 신앙적 기능에 따라서 그 의식내용도 달라진다.
불상m 2 슬롯은 부처님이 가진 32상(相)과 80종호(種好)의 장엄을 나타나게 해달라는 것이다. 이 32상 80종호는 인간과는 다른 부처님 상호의 특색으로서, 불상을 제작할 때에 이미 이와 같은 특징을 조각하거나 그리기도 하지만, m 2 슬롯식은 이들 상호가 지니는 신앙적 의미를 부여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m 2 슬롯식의 절차는 먼저 m 2 슬롯의식을 행하는 도량을 정화한 뒤, 새로 조성한 불상이 32상 80종호의 특징을 지니고 여래 10호의 전지전능한 능력을 구족한 불상이 되어 신앙의 대상이 되어줄 것을 발원한 뒤 권공(勸供) 예배한다. 그 뒤 불상의 눈[眼]을 붓으로 그리게 됨으로써 m 2 슬롯식은 끝나는 것이다.
눈을 그리기 전에 이 m 2 슬롯의 눈이 육안(肉眼) · 천안(天眼) · 혜안(慧眼) · 법안(法眼) · 불안(佛眼) · 십안(十眼) · 천안(千眼) · 무진안(無盡眼)을 성취하고, 그 눈이 청정하고 원만하기를 기원하며, 또한 6신통(六神通) 등의 m 2 슬롯이 되기를 발원한 뒤, 개안광명진언(開眼光明眞言) · 안불안진언(安佛眼眞言) · 관욕진언(灌浴眞言) · 시수진언(施水眞言) · 안상진언(安相眞言) 등을 외워서 신비력을 가지게 한다.
나한m 2 슬롯 · 사천왕m 2 슬롯 · 시왕m 2 슬롯 등도 불상m 2 슬롯과 거의 같은 절차에 의해서 의식을 치르게 되지만, 나한 · 사천왕 · 시왕 등이 가지는 상호의 특징에 따라서 m 2 슬롯에 대한 발원이 달라진다. 이렇게 하여 개안절차가 모두 끝나면 비로자나불을 비롯한 삼신불(三身佛)에게 생명력을 갖춘 불상으로서의 증명을 받는 증명m 2 슬롯이 있게 되는데, 이를 불상증명창불(佛像證明唱佛)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