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 전병 ()

목차
관련 정보
밀전병
밀전병
식생활
개념
찹쌀가루 · 밀가루 · 수숫가루 등을 반죽하여 기름에 지진 떡. 유전병.
이칭
이칭
유전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찹쌀가루 · 밀가루 · 수숫가루 등을 반죽하여 기름에 지진 떡. 유전병.
내용

유전병(油煎餠)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중국 전한에서 시작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당나라 때에 불교와 더불어 들어왔을 가능성이 많다. 『임원경제지』 정조지에는 찹쌀던파 온 슬롯와 꽃을 섞어서 지진 것을 화전(花煎)이라 하였고, 밀던파 온 슬롯를 둥글게 지진 것을 전병이라 하였다.

찹쌀던파 온 슬롯 · 수숫던파 온 슬롯 · 율무던파 온 슬롯 등을 둥글게 만들어 주1를 넣고 접어서 지지기도 한다고 하였다. 전병은 다음과 같은 여러 종류가 있었으나, 지금은 그 중의 몇 가지만이 이어지고 있다.

① 밀전병 : 햇밀던파 온 슬롯를 묽게 반죽하여 기름을 두르고 둥글게 지져낸다. 호박 등의 채소를 채 썰어서 섞기도 한다.

② 화전 :『경도잡지(京都雜誌)』·『동국세시기』 등에서 진달래꽃을 찹쌀던파 온 슬롯에 섞어 반죽한 것을 기름에 지진다고 하였다. 이 화전법은 지금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꽃잎 한 장을 위에 올려놓고 지지니 꽃의 향기가 그만 못하고 흉내만 내는 셈이다. 가을에는 감국잎 · 국화꽃, 여름에는 장미꽃 · 맨드라미꽃 등을 쓰며, 꽃이 없을 때에는 대추 · 석이 · 밤 등을 곱게 채썰어 꽃을 대신하기도 한다.

③ 주악 : 초나라의 주2로부터 유래되었다. 찹쌀던파 온 슬롯로 떡을 만들어 속에는 팥소를 넣고 두 뿔이 나도록 빚어서 기름에 지져낸다. 이것은 뿔을 가짜로 만들었다고 하여 조각(造角)이라 하였다. 각의 음이 악(岳)이 되어 조악(造岳)이 되고, 다시 지금의 주악이 된 것이다.

④ 병자(餠子) :빈대떡 · 빈자떡이라고도 한다. 녹두 반죽에 팥소를 넣어 던파 온 슬롯 음식이다. 지금은 돼지고기 · 김치 · 고사리 등을 넣고 부쳐서 주3의 성격이 강하게 되었다.

이 밖에 메밀던파 온 슬롯에 설탕과 꿀을 섞어 반죽하여 시루에 찌고 얇게 밀어서 연꽃잎 같이 지진 연전병(蓮煎餠), 토란을 삶아 껍질을 벗기고 찹쌀던파 온 슬롯와 섞어 쪄서 떡을 만들어 기름에 지진 토란병, 감자를 찐 다음 채쳐서 꿀에 담갔다가 찹쌀던파 온 슬롯를 묻혀서 지진 서여향병(薯蕷香餠) 등도 있었다.

참고문헌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경도잡지(京都雜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주석
주1

팥을 삶아서 으깨거나 갈아서 만든 것. 떡이나 빵 따위의 속으로 넣는다.   우리말샘

주2

웃기떡의 하나. 찹쌀던파 온 슬롯에 대추를 이겨 섞고 꿀에 반죽하여 깨소나 팥소를 넣어 송편처럼 만든 다음, 기름에 지진다.   우리말샘

주3

반찬거리가 되는 것. 또는 반찬의 종류.   우리말샘

관련 던파 온 슬롯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던파 온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