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병(油煎餠)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중국 전한에서 시작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당나라 때에 불교와 더불어 들어왔을 가능성이 많다. 『임원경제지』 정조지에는 찹쌀던파 온 슬롯와 꽃을 섞어서 지진 것을 화전(花煎)이라 하였고, 밀던파 온 슬롯를 둥글게 지진 것을 전병이라 하였다.
찹쌀던파 온 슬롯 · 수숫던파 온 슬롯 · 율무던파 온 슬롯 등을 둥글게 만들어 주1를 넣고 접어서 지지기도 한다고 하였다. 전병은 다음과 같은 여러 종류가 있었으나, 지금은 그 중의 몇 가지만이 이어지고 있다.
① 밀전병 : 햇밀던파 온 슬롯를 묽게 반죽하여 기름을 두르고 둥글게 지져낸다. 호박 등의 채소를 채 썰어서 섞기도 한다.
② 화전 :『경도잡지(京都雜誌)』·『동국세시기』 등에서 진달래꽃을 찹쌀던파 온 슬롯에 섞어 반죽한 것을 기름에 지진다고 하였다. 이 화전법은 지금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꽃잎 한 장을 위에 올려놓고 지지니 꽃의 향기가 그만 못하고 흉내만 내는 셈이다. 가을에는 감국잎 · 국화꽃, 여름에는 장미꽃 · 맨드라미꽃 등을 쓰며, 꽃이 없을 때에는 대추 · 석이 · 밤 등을 곱게 채썰어 꽃을 대신하기도 한다.
③ 주악 : 초나라의 주2로부터 유래되었다. 찹쌀던파 온 슬롯로 떡을 만들어 속에는 팥소를 넣고 두 뿔이 나도록 빚어서 기름에 지져낸다. 이것은 뿔을 가짜로 만들었다고 하여 조각(造角)이라 하였다. 각의 음이 악(岳)이 되어 조악(造岳)이 되고, 다시 지금의 주악이 된 것이다.
④ 병자(餠子) :빈대떡 · 빈자떡이라고도 한다. 녹두 반죽에 팥소를 넣어 던파 온 슬롯 음식이다. 지금은 돼지고기 · 김치 · 고사리 등을 넣고 부쳐서 주3의 성격이 강하게 되었다.
이 밖에 메밀던파 온 슬롯에 설탕과 꿀을 섞어 반죽하여 시루에 찌고 얇게 밀어서 연꽃잎 같이 지진 연전병(蓮煎餠), 토란을 삶아 껍질을 벗기고 찹쌀던파 온 슬롯와 섞어 쪄서 떡을 만들어 기름에 지진 토란병, 감자를 찐 다음 채쳐서 꿀에 담갔다가 찹쌀던파 온 슬롯를 묻혀서 지진 서여향병(薯蕷香餠) 등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