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 슬롯 전밀라 ()

개신교
인물
1955년 한국인 최초 여성 목사로 안수를 받고 기독교대한감리회 여선교회전국연합회 총무로 활동한 목사.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08년 10월 15일
사망 연도
1985년 10월 30일
출생지
충청북도 제천군
주요 경력
양고아교회 목사, 감리교여선교회 전국연합회 총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전밀라는 1955년 한국인 최초 여성 목사로 안수를 받고 기독교대한감리회 여선rt 슬롯 전국연합회 총무로 활동한 목사이다. 충청북도 제천에서 권서의 딸로 출생하여 서울 감리교신학교를 졸업한 후 1954년 감리교 중부연회에서 명화용과 함께 한국인 최초 여성 목사로 안수를 받았다. 이후 인천 창영rt 슬롯와 서울 양광rt 슬롯에서 목회하였고 기독교대한감리회 여선rt 슬롯전국연합회 총무로 활약하였다.

정의
1955년 한국인 최초 여성 목사로 안수를 받고 기독교대한감리회 여선교회전국연합회 총무로 활동한 목사.
인적사항

1908년 10월 15일 충청북도 제천군 덕산면 수산리에서 미rt 슬롯회 주1(매서인[^2])로 활동하던 전연득과 최마리아 사이의 1남 4녀 중 맏딸로 출생했다. 충주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31년 공주 영명여학교를 졸업하고 서울 rt 슬롯교신학교(현 rt 슬롯교신학대학교)에 입학하여 1935년 졸업rt 슬롯다.

주요 활동

졸업 후 원주 지방 순회 전도사로 파송을 받아 지방 내 30여 rt 슬롯를 순방하며 주일학교와 여선rt 슬롯를 지도하였다. 1939년 원주 지방 선교사 모리스의 후원으로 일본 도쿄의 아오야마학원〔青山学院〕 신학부에 들어가 일 년간 수학하였고 귀국 후 원주읍rt 슬롯(현 원주제일rt 슬롯), 원산 중앙rt 슬롯 전도사로 사역하였다. 해방 후 1946년 월남하여 서울 남산rt 슬롯와 인천 창영rt 슬롯 전도사로 사역하였고 1951년 인천 갈월rt 슬롯를 개척, 담임하였다.

한국 감리rt 슬롯는 1930년 제1회 총회에서 ‘여자 목사 안수’ 제도를 채택하였지만 19311932년 기독교조선rt 슬롯회 연회에서 2030년 경력의 여자 선교사들만 목사 안수를 받았고 한국인 여성 목사는 배출하지 못했다. 또한 당시 감리rt 슬롯법으로 3년 이상 담임 목회를 해야 목사 안수를 받을 수 있었다.

전밀라는 갈월rt 슬롯를 3년간 담임한 후 1955년 3월 기독교대한rt 슬롯회 중부연회에서 의왕시 부곡rt 슬롯 주3 명화용 전도사와 함께 한국인 최초 여성 목사로 안수를 받았다(두 달 후인 1955년 5월 장로교 계통의 재건rt 슬롯에서 최덕지 목사가 안수를 받았다). 당시 그의 나이 47세였다.

이후 인천 창영rt 슬롯 부목사를 거쳐 1960년 3월 서울 불광동 양광rt 슬롯 담임자로 6년간 주4 1966-1974년 기독교대한감리회 총리원 부녀국 총무와 여선rt 슬롯 전국연합회 총무로서 감리rt 슬롯의 여성 사업을 총괄 지도하였다. 1974년 양광rt 슬롯 부목사로 복귀하였다가 1979년 5월 은퇴하였다.

은퇴 후 정릉 안식관에 머물다가 1985년 10월 30일 별세했다. 평생 독신으로 목회하면서 가부장적 전통 문화와 ‘여성 목사’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맞서 투쟁rt 슬롯다.

상훈과 추모

1968년이화여자대학교로부터 ‘종교인상’을 수상하였다. 사후 양광rt 슬롯에서 주5 『또 다시 기다리는 마음으로』(1986)를 출간rt 슬롯다.

참고문헌

단행본

『양광rt 슬롯 50년사』 (기독교대한감리회 양광rt 슬롯, 2007)

논문

김지혜, 『한국초기 여성설교자 연구: 전밀라를 중심으로』 (rt 슬롯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기타 자료

전밀라, 「한국 최초의 여목사가 되기까지」(『기독교사상』 17-5, 대한기독교서회, 1973. 5)
주석
주1

각처로 돌아다니면서 전도하고 성경책을 파는 사람. 우리말샘

주2

각처로 돌아다니면서 전도하고 성경책을 파는 사람. 우리말샘

주3

어떤 일을 책임지고 맡은 사람. 우리말샘

주4

사무를 보다.우리말샘

주5

종교의 교리를 설명한 글을 모아 엮은 책.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