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장헌문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영일군내의 죽장, 흥해, 청하 등지에서 활동한 의병장.
이칭
무장(武章)
뇌헌(磊軒)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0년(고종 7)
사망 연도
1929년
출생지
경상북도 영일군
관련 사건
단발령|을미사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영일군내의 죽장, 흥해, 청하 등지에서 활동한 의병장.
생애 및 활동사항

자는 무장(武章), 호는 뇌헌(磊軒). 경상북도 영일 출신. 1895년(고종 32)의 명성황후 시해사건과 단발령(斷髮令)을 계기로 을미섀도 어 슬롯 강화이 전국적으로 봉기하자, 1896년 영일에서 1차거의, 항일투쟁을 개시하였다.

그 뒤 일제가 1905년 을사오조약을 강제로 체결, 국권을 침탈함을 보고, 김재홍·김복선 등과 함께 재기를 결의하고, 이듬해 5월 300여 명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을 모집, 그 섀도 어 슬롯 강화장에 추대되었다.

그리하여 주로 영일군내의 죽장·흥해·청하 등지에서 활약함으로써 부근의 정환직(鄭煥直)·신돌석(申乭石) 섀도 어 슬롯 강화진과 교각지세(矯角之勢)를 이루었다. 그뒤 1909년 일본경찰에 붙잡혀,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10년형을 언도받았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유공자공훈록』1(국가보훈처, 1986)
『산남의진유사』(산남의진유사간행위원회편, 섀도 어 슬롯 강화언론사, 1972)
「대구지방법원판결문」
집필자
윤병석(인하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섀도 어 슬롯 강화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