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 슬롯 장응두 ()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즉경」, 「한야보」, 「슬픈그림」 등을 저술한 시인. 시조시인.
이칭
이칭
하보(何步)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3년
사망 연도
1972년
출생지
경상남도 통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댄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즉경」, 「한야보」, 「슬픈그림」 등을 저술한 시인. 시조시인.
생애 및 활동사항

호는 하보(何步). 경상남도 충무(지금의 통영) 출생. 20세까지 할아버지 밑에서 한학(漢學)과 한의학(漢醫學)을 배웠다. 1936년 동아일보 통영지국장을 지냈고, 1965년부터 댄 슬롯문인협회(韓國文人協會) 부산지부 부지부장을 역임하였다.

유치환(柳致環)·염주용(廉周用)·박영포(朴永浦) 등과 동인지 『생리(生理)』를 발간하여 시운동을 벌였다. 같은 잡지에 시 「가을」(1935.6.), 「나의 해복(解腹)날」(1935.6.), 「제미정(題未定)」(1935.6.), 「상심(傷心)」(1935.9.), 「발길」(1935.9.), 「슬픈 그림」(1935.9.), 「자원(自願)」(1935.9.) 등을 발표하였고, 양장시조(兩章時調) 「즉경(卽景)」(1935.6.)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이어 시 「압록강을 건너서면서」(조선문단 24호, 1936.7.)를 발표하였고 신춘문예에 시조 「한야보(寒夜譜)」(문장 15호, 1940.4.)로 추천을 받았다. 그리고 시 「야국(野菊)」(현대문학, 1956.3.), 「산(山)」(현대문학, 1958.8.), 「빛은 살아 있다」(현대문학, 1962.2.), 시조 「습유사제(拾遺士題)」(시조문학, 1967.6.) 등을 발표하였다.

처음에는 자유시를 쓰다가 뒤에 시조로 전환하였다. “해거름에 장끼가 날아간 뒤/갈대도 무서워 바시시 떨고/메뚜기도 오늘은/시름시름 조을고”(‘가을’의 2련, 생리, 1935.6.). 이 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향토적인 정경이 한 폭 그림처럼 서정적으로 잘 표현되어 있으며, 시조작품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저서로는 유작시조집 『한야보』가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댄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댄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댄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