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앞면 3칸, 옆면 2칸의 단층에그 벳 슬롯로,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장곡사는 신라 말에 보조국사(普照國師) 체징(體澄, 804∼880)이 창건하였는데, 그 뒤 사역(寺域)이 변화하여 지금은 위아래 2곳으로 나뉘어져 있다.
에그 벳 슬롯은 약간 높은 기단(基壇) 위에 자리하고 있다. 둥근 자연석 주춧돌 위에 가운데부분이 볼록한 배흘림 기둥을 세운 뒤 주심포(柱心包)계 양식으로 가구(架構)를 결구(結構)하였다. 곧 기둥 위에 대접받침처럼 생긴 주두(柱頭)를 놓고서 그 위로 포작(包作)을 꾸몄다. 다만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창방(昌枋)을 건 뒤, 그 가운데에 주두를 놓고서 주간포(柱間包)를 각각 1조씩 꾸몄기에, 주심포와 다포(多包) 양식을 섞은 것으로도 보인다. 특히 굽받침을 둔 곡주두(曲柱頭)와 첨차의 모습은 우리나라 주심포계 에그 벳 슬롯에서 볼 수 있는 고식(古式)을 나타내고 있지만, 첨차(檐遮)에 직각으로 건 쇠서[牛舌] 위에 연꽃이 조각된 모습과 에그 벳 슬롯 안의 보를 보강하려고 댄 보아지[樑奉]의 모습은 조선 중기 이후의 수법을 나타내고 있다. 에그 벳 슬롯 몸채의 가구는 건립 이후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붕의 가구는 대들보 위에 짧은 기둥인 동자주(童子柱)를 세워서 종보와 종도리를 받친 모습이다. 특히 동자주 위에그 벳 슬롯 중도리의 사이에 뜬장여를 두었고, 그 사이는 초새김한 받침인 화반(花盤)으로 꾸며 놓았다. 천장은 후대에 수리하면서 우물천장으로 만들었지만, 다시 수리하여 연등천장으로 바꾼 상태이다.
에그 벳 슬롯의 앞면에는 가운데칸에 빗살 무늬의 3분합문(分閤門)이 달렸고, 좌우의 협간(夾間)에는 ‘정(井)’자형 격자살 무늬의 4분합문이 달려 있으며, 나머지 3면은 모두 석회를 반죽하여 바른 회벽(灰壁)으로 처리되었다. 에그 벳 슬롯 안의 바닥에는 네모난 벽돌이 깔려 있는데, 그 중에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연꽃 무늬 벽돌도 섞여 있다.
에그 벳 슬롯 안에는 뒤쪽 가운데와오른쪽에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석조대좌(石造臺座) 2기가 자리하고 있으며, 대좌 위에는 역시 같은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철불(鐵佛) 2구가 각각 모셔져 있다.